•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강점기 이후 石塔 조사연구사 (A Study on the Research History of Stone Pagoda after Japanese Colonial)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1.02
16P 미리보기
일제강점기 이후 石塔 조사연구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건축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건축역사연구 / 20권 / 1호 / 61 ~ 76페이지
    · 저자명 : 지성진, 서치상

    초록

    일제강점기를 시작으로 오늘에 이르기까지 석탑에 관한 조사는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 이후 현재까지 발간된 석탑에 관한 조사 문헌을 비교ㆍ연구하여, 시기에 따라 조사의 목적과 방법이 다르며, 이에 따른 해석에도 차이가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일제강점기 관에 의한 조사에서는 목록을 작성하고 간략한 현황기술과 사진촬영을 진행하였다. 식민지 관리를 목적으로 수량 및 현황파악이 목적이었다. 그 이후 일본인 학자들은 치수 조사, 도면작성을 하여 기하학적 해석의 근거로 삼았다. 학문적인 관심에서 시작된 연구를 위한 것이었다. 해방 이후에는 탑보다는 내부 소장유물에 대한 조사를 중점적으로 하여,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절에 국민적 관심을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 그 이후부터 1900년대 후반까지는 석탑에 대한 조사보다는 해체ㆍ보수공사가 주를 이룬다. 이 때 진행된 조사는 공사전후의 상황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기 위한 것으로, 보수되어야 할 부분에 대한 현황조사가 대부분이었다. 1990년대부터 시작된 국가기관 주도의 해체, 보수공사에서는 역사학적 해석, 형태, 기법, 구조, 비례 등을 총괄한 건축적 조사와 보존과학적 조사를 병행하였다.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충분히 연구하여 신중히 보수를 진행하기 위함이었다. 구조, 물리, 화학, 생물학, 암석학 등 전문기관의 조사에서는 분석ㆍ실험을 통하여 구조적 안정성 확인, 신석제작용 암석선정, 보존처리제의 선정 등이 진행되었다. 학제간 연구가 이루어져, 석탑의 보수를 위한 지침자료가 마련되었다. 마지막으로 2004년 이후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석조문화재기록보존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조사에서는 전문장비를 이용한 상세조사를 진행하여, 기록을 보존함과 동시에 연구자에게 상세도면과 세부사진 등 자료를 제공하였다.
    이와 같이 동일한 대상에 대해 시기와 관점을 달리하여 다양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목록 작성에서 시작하여, 실측조사와 비교연구가 진행되고, 해체ㆍ보수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최근에는 현황자료를 기록 화하여 보존하고, 연구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하려는 노력을 엿볼 수 있다.
    향후 조사는 축적된 자료를 아우르는 종합적인 측면에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까지 조사된 개별 자료를 종합하고, 여러 석탑을 대상으로 유사성과 차이점을 구분하여 재분류ㆍ집성하는 비교 분석이 필요하다. 종합적인 데이터를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된다면, 석탑이 들어선 사찰 혹은 사지로 연구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연구단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석탑이 활발하게 조성되었던 고대 건축에 대한 연구단서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ing aspects about research methodology of stone pagoda from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to now. There were the differences in purpose, method and analysis of the research according to each period.
    In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purpose of research was to make lists of almost stone pagodas in Korea. Following this, Japanese researchers conducted detailed research for academic purpose. They took measurements of stone pagodas and made drawings.
    After liberation the research was focused on the relics contained in pagodas. They proceeded to investigate the inner relics in order to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people.
    In the late 1900's, the repair works of cultural heritages were increased. Many reports of the repair works were released and sent to administration offices. The reports contained the change aspects of situation between before work and after with drawings or simple investigation documents.
    In the 1990's, the restoration works for important stone pagodas were sta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Since then, researches from various way - architectural and conservational researches about historical interpretation, shape, structure, proportion, technique, etc. - progressed for careful restoration and accurate study.
    In Recent years, various professional organizations(in the field of structure, physics, chemistry, biology, lithology, etc.) started to join the researches. Researches conducted studies directly with the stone pagodas, as well as conducting indirect studies with the stone pagodas, such as the structural stability of stone pagodas, the characteristics of rock, and conservation chemicals.
    Today the research project 'The preservation project of stone cultural property' is being conducted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gain more detailed and accurate investigation documents to be provided for the people.
    In conclusion, researches from various fields must be included in the research. Furthermore, a synthetic study should be done through comparing similar characteristics or different characteristics among many research resul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건축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