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크라테스적 시민성과 시민불복종 (A Study on Socratic Citizenship and Civil Obedien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03.10
20P 미리보기
소크라테스적 시민성과 시민불복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윤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윤리교육연구 / 4호 / 95 ~ 114페이지
    · 저자명 : 윤영돈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 사회의 시민성의 한 대안으로서 소크라테스적 시민성을 탐구하고, 권위와 복종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입장을 해명하며, 그리스적 교육전통을 토대로 소크라테스적 시민성 교육을 재구성하는 것이다. 소크라테스적 시민성은 플라톤의 철인왕만이 파악할 수 있는 인식론적 전제를 지양한다. 오히려 부정의 길을 채택함으로써 소크라테스적 시민성은 모든 사람에게 개방되어 있으며, 자신이 옳다고 믿는 의견의 진실성은 대화의 장에서 검증될 수 있다. 소크라테스가 시민 불복종의 형식에 대해 엄격하게 제한을 가한 이유는 시민 불복종이 부정의한 제도나 불공평한 관행들에 대한 유일한 해결책이 아니며, 시민 불복종에 의해 초래될 사회적 해악을 염려하였기 때문이다. 소크라테스적 시민성 교육을 위해서 우리는 두 가지 명제를 고려해야 한다. 첫째, 교육학의 맥락에서 도덕적이고 지적인 발달 과정을 염두에 두어야 하며, 둘째, 유덕한 시민이 되기 위해서는 본성과 습관과 실천적 지혜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야 한다. 소크라테스적 시민성 교육의 전반부(초등학교 수준)에서는 덕 교육이 강조되며, 후반부(중등학교 수준)에서는 가치선택 및 가치판단 능력이 강조된다. 전반부에서 주로 시행되는 덕 교육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위시한 그리스적 전통인 전범(모델링)과 모방을 통해 시행되며, 후반부에서 강조되는 가치선택 및 가치판단 능력의 제고는 실천적 지혜의 계발과 문답법의 숙련을 통해 가능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ocratic citizenship as an alternative citizenship's model of our society. and make clear Socratic position of authority and obedience, and reconstruct Socratic citizenship's education on basis of Greek educational tradition.
    In the definition of Socratic citizenship, it is difficult to include an epistemology that only Plato's philosopher king can recognize. Accepting via negativa, Socratic citizenship is open to everyone. The authenticity of opinions(doxa) which each believes to be right can be proved in the field of dialogue.
    The reason why Socrates limits strictly the form of civil disobedience is that civil disobedience is not the unique solution of unjust institutions or unfair conventions, and that he worried about the social damages caused by civil disobedience.
    We must consider two propositions for Socratic citizenship's education. One is that we must consider moral and intellectual develoment process in the pedagogical context. The other is that nature(physis), habit(ethos) and reson(phron sis) should be combined organically in order to be virtuous citizen.
    In the elementary level of Socratic citizenship, the emphasis of virtue education is put on modeling (paradeigma) and imitation(mim sis) that Greek traditions including Plato and Aristotle has emphasized on. In the secondary level, the cultivation of value judgment and value evaluation can be is focused on. The capacity of value judgement and value evaluation can be raised by exercise of practical reason (phron sis) and dialogue(dialektik )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윤리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