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적석목곽분의 축조기법과 전개 (The Construction Technique and Development of Silla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7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6.12
78P 미리보기
신라 적석목곽분의 축조기법과 전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역사문물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숭실사학 / 37호 / 33 ~ 110페이지
    · 저자명 : 최병현

    초록

    신라 전기 고분문화의 핵심적인 존재인 경주 월성북고분군의 적석목곽분은 매장주체부인 목곽, 목곽의 주위 사방과 뚜껑 위로 냇돌을 쌓아올린 적석부, 그 위에 흙으로 쌓은 圓形의 高大 봉토와 봉토 가장자리에 돌을 쌓아 두른 호석을 기본구조로 한다. 적석목곽분은 목곽이 부식되고 적석부는 함몰하여, 고분의 내부구조가 변형된 상태로 조사되므로, 그 내부구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실’의 확인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를 소홀히 하고 연구자 개인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면, 그 연구 결과는 합리적 추론의 범위를 벗어나버리고 만다.
    신라 전기 월성북고분군에서는 두 유형의 적석목곽분, 즉 지상적석식과 상부적석식의 적석목곽분이 조영되었다. 매장주체부를 중심으로 지상적석식은 무묘광 지상주체식, 상부적석식은 묘광 주체식이라고 할 수 있다. 두 유형의 적석목곽분은 묘곽의 형식 등 기본적으로 신라 조기 석재충전목곽묘의 구조를 계승한 것으로 보이지만, 상부적석식은 그 계승성이 현저한 반면 지상적석식은 차이점이 많으며, 지상적석식과 상부적석식 사이에도 구조적 상이성이 상당하다. 따라서 상부적석식에서 지상적석식으로 발전한 것이 아니라 양자는 시종 공존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한편, 월성북고분군의 초대형 적석목곽분 중에 존재하는 신라 마립간시기 왕릉들의 비정에 대해서는 견해가 상반된다. 대개 신라고분에 대한 연대관의 차이 때문이다. 그러나 왕릉의 비정은 특정 고분의 연대관이 아니라 고분들의 상대편년, 그에 의한 월성북고분군의 조영 방향, 그리고 왕릉 배치의 기획성에 부합해야 한다.

    영어초록

    The basic structure of th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of the Wolseong North Burial Ground, located in Gyeongju, which are a central feature of the Early Silla Tomb culture, consists of the following: a wooden burial chamber; a stone cairn feature, made of river stones, that surrounds the top and sides of the wooden burial chamber; a large, high and round earthen mound that covers the stone cairn feature; and a row of protective stones establish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earthen mound. This basic structure, in its original state, cannot be observed during the investigation of these tombs, since the wooden chamber deteriorates over time and the stone cairn feature collapses inwards as a result. As such, the identification of ‘facts’ is a key element of the investigation of these tombs, based on which an understanding of their internal structure can be achieved. When such an establishment of facts is ignored and the archaeologist’s subjective judgement takes over, the results of the archaeological research inevitably go beyond the boundaries of rational inference.
    In the Early Silla phase, two subtypes of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were constructed at the Wolseong North Burial Ground; the subtype that features a burial chamber located above ground and the subtype with a subterranean burial chamber. Both subtypes feature a similar wooden chamber structure and therefore are believed to have emerged from the wooden chamber tomb embellished with packed stones of the Incipient Silla phase. The connection with this prototype can clearly be seen in the case of the subtype with a subterranean burial chamber. However, there also exists considerable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subtype featuring a burial chamber located above ground and the subtype with a subterranean burial chamber. It is likely that the two subtypes coexisted.
    There is considerable debate surrounding the interpretation (i.e. the identity of the deceased) of some of the largest tombs located in the Wolseong North Burial Ground, which are generally accepted to be Royal Tombs of the Maripgan Period. This is due to the difference in opinion concerning the dating of the Silla tombs. The identification of the deceased’s identity in the case of the Royal Tombs, however, is based not on the absolute date per se of a given tomb but rather on its relative position in the sequence of the constructed tombs. The interpretation of the deceased’s identity must therefore be in accordance with the trajectory of expansion observed at the Wolseong North Burial Ground, and must also demonstrate the probable choices associated with the planning of a Royal Tomb.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숭실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