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통상법과 트럼프행정부의 통상정책 (United States Trade Act and Trump Administration’s Trade Policy)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1.05
44P 미리보기
미국통상법과 트럼프행정부의 통상정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안암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안암법학 / 62호 / 551 ~ 594페이지
    · 저자명 : 김채형

    초록

    2016년 11월 미국은 ‘America First’의 구호를 내세운 Donald Trump를 대통령으로 선출하였으며, 트럼프(Trump)대통령은 보호무역정책을 장려하고 국제협력에서 미국의 국내이익을 우선시하였다. 이러한 방향에서 트럼프대통령은 국제사회의 동맹관계를 중시하지 않고, 협력적이고 외교적인 접근방식을 회피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우선적으로 미국의 보호무역주의정책의 역사를 간략히 살펴보고, 다음으로 미국이 자유무역정책을 표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내에서 보호무역정책의 실행을 위하여 미국 통상법을 적극적으로 적용하는 경향을 분석한다.
    미국 행정부는 미국 통상법과 WTO분쟁해결절차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미국의 상품과 서비스에 대하여 외국시장을 개방하고 있으며, 외국의 불공정한 행위에 대하여 미국 노동자, 기업가, 농부를 보호하고 있다. 그런 방향에서 트럼프행정부는 다른 국가가 미국시장을 부당하게 공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국 통상법의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집행을 시도하고 있다. 트럼프행정부는 미국 산업에 혜택을 주기 위하여 미국의 반덤핑법과 상계관세법의 적극적인 집행을 계속하였으며, 미국의 계속적인 반덤핑조치와 상계관세조치는 보호무역주의가 미국 통상법의 일부분으로 남아 있다는 점을 나타내고 있다. 미국 Trade Act의 Section 301에 따라 불공정한 무역행위 조사절차, Section 201에 따라 세이프가드조사의 절차, 1962년 Trade Expansion Act 의 Section 232에 따라 외국수입에 대한 국가안보 조사절차 같은 이러한 수단들은 대다수 사용되지 않았는데, 최근에 트럼프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미국 행정부는 미국 노동자들을 위한 더욱 공정하고 강력한 미국경제를 창설하기 위하여 활용가능한 모든 수단을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는 미국이 보호무역주의측면에서 사용한다고 판단되는 무역규제조치로써 미국 통상법상의 반덤핑법, 상계관세법, Section 201의 세이프가드조치, Section 301에 의한 조사 및 조치, 국가안보를 위한 Section 232의 조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WTO의 분쟁해결제도는 강제적 관할권과 권위있는 항소기구로 인하여 가장 광범위하게 준수되는 국제법률제도의 하나이었다. 그렇지만 미국의 트럼프대통령은 이러한 강력한 WTO체제에 대한 신뢰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트럼프행정부는 WTO의 강제적인 통상법규에 관련하여 미국에게 부과되는 국제적 의무에 대하여 회의적인 입장을 나타내었다. 이 논문에서 WTO체제에 대한 트럼프행정부의 입장을 미국 무역대표부(USTR)의 보고서에 따라 분석하며, WTO의 항소기구에 대한 미국의 무력화조치를 검토하였다.
    WTO체제에 대한 트럼프행정부의 공격은 WTO협정의 규범에 대하여 충격을 가하고 있다. 미국은 지난 수년 동안 WTO 항소기구의 권한확대에 대하여 깊은 우려를 표명하면서, WTO 항소기구의 월권행위는 불공정한 무역행위를 규제하려는 미국의 권한을 제한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래서 트럼프행정부는 WTO 항소기구의 신규 위원의 선정을 위한 공식적 절차를 전략적으로 봉쇄하였고, 이러한 봉쇄조치로 인하여 2019년 12월에 WTO 항소기구가 실질적으로 종료되었다. 미국의 반발로 야기된 WTO체제의 위기를 제도적 개혁을 통하여 WTO체제에 다시 활력을 불러일으켜야 할 시점에 있으며, 개별국가가 WTO체제의 분쟁해결제도를 봉쇄하지 못하도록 제도적 완비가 있어야 한다.

    영어초록

    In November 2016, The United States elected Donald Trump as President following his ‘America First’ campaign, which promoted protectionist policies and prioritized the United States’ domestic interests over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is direction, President Trump seeks to disengage from global alliances, and eschew cooperative diplomatic approaches. This paper addresses briefly the history of Unites States protectionism and analyses the trends in applying actively U. S. trade laws in order to implement protectionist policy in the United States, despite the United States’ simultaneous promulgation of free trade policies.
    Through the vigorous applications of U. S. trade laws and active use of WTO dispute settlement procedures, the United States open foreign markets to U. S. goods and services and helps defend U. S. workers, businesses, and farmers against foreign unfair practices. In this direction, Trump administration tries to enforce vigorously U. S. trade laws to defend other countries to attack unduly U. S. domestic markets. Trump administration implements continuously vigorous application of U. S. antidumping laws and countervailing duty laws to provide benefits to U. S. industry. The United States’ continuous antidumping duties and countervailing measures are examples of how protectionism has remained a part of U. S. trade laws. U. S. Congress has enacted procedures for unfair trade investigations under Section 301 of the Trade Act of 1974, safeguard actions under Section 201 of the Trade Act of 1974, and national security investigations of imports under Section 232 of the Trade Expansion Act of 1962. In recent decades, these tools were largely unused. But under President Trump’s leadership, the U. S. Administration is using all available tools to create a fairer and stronger economy for American workers. This paper analysed antidumping laws, countervailing duty laws, safeguard measures under Section 201, measures under Section 301, national security measures under Section 232 of the U. S. Trade Act as supposed to be utilized in the aspects of protectionism.
    The WTO’s dispute settlement system was one of the most widely respected international legal systems in existence due to its large caseload, compulsory jurisdiction, high levels of compliance, and authoritative Appellate Body. But President Trump called into question this confidence in the robustness of the WTO. Trump administration was skeptical of American international commitments more generally. Thus this paper analysed the position of Trump administration according to the reports of United States Trade Representative (USTR), and reviewed U. S. blocking measures regarding to WTO’s Appellate Body.
    Trump administration’s attacks on the WTO system, in particular, represent a shock to the norms and understanding essential to the WTO agreements. The United States has expressed deep concerns for many years with the Appellate Body’s overreach in various areas. The United States assert that such overreach restricts the ability of the United States to regulate in the public interests and protect U. S. workers and businesses against unfair trading practices. Thus Trump administration blocked the official procedure for nominate or renew the term of Appellate Body members, and WTO Appellate Body is sub- stantially terminated in December 2019. The current crisis of the WTO system caused by the United States’s opposition has to overcome through institutional reform of the WTO. The positive and credible demonstration of support for the WTO would be necessary to rebuild the confidence in the WT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안암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