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상파재송신 관련 법적 쟁점과 분석 (what are the legal issues of retransmitting terrestrial signals and how to solve the problem?)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0.11
24P 미리보기
지상파재송신 관련 법적 쟁점과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공법학연구 / 11권 / 4호 / 3 ~ 26페이지
    · 저자명 : 고민수

    초록

    종합유선방송사업자의 지상파방송 재송신행위와 관련해 누구나 무료로 시청 가능한 지상파방송을 보다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종합유선방송 상품 가입자의 방송수신을 단순히 도와주거나 보조하는 행위에 불과하므로 종합유선방송사업자들의 재송신행위 역시 지상파방송사업자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다는 주장과 지상파방송사업자의 이용허락을 받지 않은 종합유선방송사업자의 무단 재송신은 지상파방송사업자에게 저작인접권으로 보장되고 있는 ‘동시중계방송권’을 침해한다는 주장이 팽팽히 맞섰다. 이 문제는 법적 다툼으로 이어졌고 법원은 종합유선방송사업자가 지상파방송사업자로부터 이용허락을 받지 않고 디지털 지상파방송신호를 동시재송신하는 것은 지상파방송사업자의 ‘동시중계방송권’에 대한 침해에 해당하므로 중지되어야 한다고 판시하였다.
    종합유선방송사업자들은 불복의사를 밝히고 지난 10월 4일 항소하였다. 다시 한 번 법원의 판단이 예정되어 있다. 법원의 판단을 기다려 볼 일이다. 그렇지만 판결 이후 판결의 의미에 대해 다양한 해석이 쏟아져 나오고 있어 혼란이 발생하고 있으며, 방송통신위원회는 이 같은 혼란을 해소하기 위해 재송신제도에 대한 전반적인 입법개선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그런데 종합유선방송사업자의 주장은 물론 방송통신위원회의 제도개선방침에 이론적 기초에는 모두 공익 내지 보편적 서비스라는 논리가 자리 잡고 있을 뿐 헌법적 필요성 내지 정당성과 관련해서는 논리적 근거를 찾아보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이 논문에서는 우선 이번 법적 다툼에서의 주요쟁점에 관한 법원 판단의 의의에 대해 개괄적으로 정리함으로써 판결의 의미에 대한 해석상의 혼란을 해소하고, 다음으로는 시청자들의 불안감 내지 불만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할 수 있는 지상파방송의 난시청 문제 해결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지 그리고 난시청 해소의 범위와 대상은 어디까지인지를 헌법이론에 기초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에 기초해 현행 「방송법」의 관련 조항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입법적 과제를 시론적(試論的)으로 제시해보고자 한다. 또한, 현재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는 재송신제도 개선방안에 관해 헌법해석론과 입법정책의 관점에서 문제점을 정리하고 대안적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copyright conflicts between terrestrial broadcasters and cable system operators took a new turn when a Seoul court decided to no longer permit cable companies from retransmitting terrestrial signals without consent. In giving its verdict on the case of KBS, MBC and SBS accusing the five major cable system operators ― CJ Hello Vision, CNM, HCN, T-Broad and CMB ― for copyright violations, the court stated that cable system operators were infringing on copyrights related to live broadcasting. In explanation, the court concluded that It would be hard to see the retransmission of terrestrial broadcast signal on cable channels as merely as supportive measures in allowing the reception of digital terrestrial broadcasts. However, cable system operators called the court ruling “regrettable” and filed an appeal.
    They assert that terrestrial broadcast retransmission should be focused on the aspect of the public interest and policy judgment-call. Also, The KCC(Korea Communication Commission) introduced a plan to change the retransmission policy which ensure the public interest. The plan, however, make me have a critical mind because the plan is based on “public interest” grounds or “universal service” grounds, not constitutional grounds. But the legislative effort for defining the retransmission policy should be directed toward an analysis of constitutional Perspective. Because the legislative effort should be within the limit of constitutional value order. With the point in mind, I try to suppose constitutional meaning about freedom of information as the constitutional grounds of the retransmission policy and also try to provide alternative plans to solve the problem of copyright conflicts between terrestrial broadcasters and cable system operators with this theoretical ba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