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재개발사업 해제에 따른 법적 검토 (A legal review on cancellation of the city redevelopment projec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3.08
23P 미리보기
재개발사업 해제에 따른 법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토지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토지공법연구 / 62권 / 25 ~ 47페이지
    · 저자명 : 이헌석

    초록

    그 동안 우리의 재개발정책은 도시의 공간재구성이라는 목적보다는 노후불량주거지를 고층․고밀로 개발하여 가능한 많은 수의 주택을 공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도 많은 재개발사업이 지속될 수 있었던 이유는 오로지 자산가치가 증가할 것이란 기대감 때문이었다. 이런 문제의 근저에는 우리 재개발관련법이 물리적인 도시환경개선, 주택의 대량공급 등과 같은 외부적인 가치에 초점을 두었을 뿐, 정작 중요한 ‘사람’과 ‘지역’에 대한 충분한 배려가 부족했고, 이 때문에 물리적 조건․토지소유자등의 동의 요건․법률적인 요건만 있으면 사업을 신속하게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재개발지원법’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해 왔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2007년 이후부터 부동산 경기가 침체기에 들어서자 재개발사업의 지속여부에 대한 사회적 논란이 첨예한 상태에 이르게 되었다.
    이에, 2011년 12월 30일, 우여곡절 끝에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이 개정되는 결실을 보게 되었다. 개정법의 핵심은 재개발정책을 전면철거 방식에서 유지관리방식으로 점진적 재개발방식을 도입하고 공공성을 강화하며, 주민들의 의사에 따라 정비구역의 해제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이로서 도정법의 중심이 재개발사업의 활성화에서 사업해제로 이동되고 있다는 평가도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개정법은 해제과정과 해제 후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에 대해 구체적인 대안을 갖추지 못한 입법적 불비함을 부인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법개정 후에도 재개발사업 해제와 관련하여 사업자, 조합 및 조합원들의 이해관계가 뒤섞여 혼란들이 빈발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단기적으로 도정법과 도촉법의 개정을 통해 입법적 불비를 치유하여야 할 것이며, 장기적으로는 도정법과 도촉법을 통합하고, 주택재개발사업의 목적을 재정립하여 그 지역에 거주하는 저소득층에 대한 문화와 복지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도시재개발이 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도시정비 및 주택재개발사업의 공공성에 걸 맞는 공공의 실질적인 지원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재개발문제는 단순히 정책의 성공과 실패의 문제가 아니라, 그 곳에 살고 있는 주민이나 조합원들의 삶과 미래가 걸려 있고,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의 발전방향과 미래상도 담겨 있다. 따라서 이제라도 도시재생사업의 지향점이 어디를 향해야 하는지, 이를 위해서 어떠한 내용으로 법제가 보완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business is to allow the residents to inhabit in an improved environment even after the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is completed by improving the districts wher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s inadequate and infrastructure is faulty.
    Nevertheless, there is a problem with the city redevelopment project: the meaning of publicity is fading due to excessive focus on the project itself in korea. This is because the redevelopment is being executed without investment of public resources. In result, The Act on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Urban Areas and Dwelling Conditions for Residents was revised in February 2012. The revision is expected to make positive contributions to settling down the situation where land owners, etc. are still being restricted in exercising their property right despite a continuous failure in the promotion of redevelopment projects due to deteriorated profitability and to changing them into new types of projects and therefore to promoting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s.
    However,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the revision is lifting of the redevelopment district designation where project development is being delayed. The designation is lifted in case of a delay in project development, such as a delay in application for permit by the project promotion committee and union, or in case project promotion causes excessive burden on residents. Furthermore, the lifting of designation is not through resolution by the promotion committee or union and therefore, it leads to an issue of sharing expenses previously spent in the course of promoting a project.
    In conclusion, this is the method where residents who provide the land and construction companies that pay the entire operational cost are jointly developing. Moreover, in order to activate city redevelopment project, residential participation must be activated. Also, joint redevelopment method and improvement on circular maintenance method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ity redevelop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토지공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