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권정책기본법 제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egislation of the Fundamental Act on Human Rights Policy)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8.12
37P 미리보기
인권정책기본법 제정 방안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경희법학 / 53권 / 4호 / 3 ~ 39페이지
    · 저자명 : 홍관표

    초록

    「대한민국헌법」(이하 “헌법”이라 한다)은 제10조 제2문에서 “국가는 개인이 가지는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을 확인하고 이를 보장할 의무를 진다”고 규정하여, 인권의 제도화와 보장에 관한 국가의 의무를 헌법에 명시하고 있다. 시민적,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생활영역의 전반에 걸쳐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 인권과 자유의 보장 및 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국내법은 매우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다. 그렇지만 최고 법원(法源)인 헌법을 법률로 구체화시키는 단계에 있어서 인권의 의미와 내용을 재확인하면서 인권을 보호하고 존중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국내 제도와 시스템을 총괄적으로 규율하는 법률은 현재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인권에 관한 국내법 중 가장 일반적 성격을 지니고 있는 「국가인권위원회법」은 실체법이 아닌 국가인권위원회의 조직법이자 국가인권위원회에 대한 진정 처리에 관한 절차법의 성격을 띠고 있어서, “인권”과 “평등권 침해의 차별행위”에 관한 정의 규정이 있으나, 대개의 경우에 기본법 단위에서 규정하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국민의 권리와 의무, 기본계획의 수립 및 이행, 정부 내 정책추진체계 등에 관한 사항은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입법적 공백이 존재한다. 여기에 국제인권조약의 국내 이행을 위한 시스템 마련과 인권교육 체계에 관한 사항도 관련 법적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인권정책과 관련된 국내의 주요 법령을 확인하여 인권정책에 관한 국내 제도와 시스템을 총괄적으로 규율하는 기본법의 필요성을 재확인하면서, ‘인권정책기본법’을 제정하는 경우에 그 내용에 포함시켜야 할 구체적인 사항들을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 국제인권조약의 국내 이행, 인권교육 등을 포함하여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인권정책기본법의 제정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onstitution”) stipulates in Article 10 Section 2 that “the State shall have the obligation to confirm and guarantee the inviolable and fundamental human rights of individuals” and specifies the state's obligation to institutionalize and guarantee human rights. There are a wide variety of domestic laws aimed at guaranteeing and realizing the basic human rights and freedoms necessary to realize human dignity and values throughout the civil,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life spheres. However, at the stage of embodying the constitution, which is the highest source of law, into law, there is currently no law that governs the basic domestic institutions and systems overall, necessary to reaffirm the meaning and content of human rights as well as to protect and respect them.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ct, which has the most general character of domestic law on human rights, is not a substantive law but rather has the nature of a procedural law for the complaint procedure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s such, there is a definition of “human rights” and “discrimination of equal rights infringement”, but there are legislative blanks that do not include any matters generally stipulated at Fundamental Acts, such as the responsibilities of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people,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a national action plan, and the policy system within the government.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legal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in Korea and the human rights education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희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