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리나라의 협약자율과 노동법 (Korean Collective Agreement Autonomy and Labor Law)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1.12
47P 미리보기
우리나라의 협약자율과 노동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67권 / 95 ~ 141페이지
    · 저자명 : 김상호

    초록

    이 논문에서는 협약자율의 영역에서 제기되는 현안 문제를 대상으로 하여 비교법적 고찰을 시도하였고 이로써 우리나라 협약자율제도의 해석에 있어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에서 협약자율은 노와 사가 힘의 대등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단체교섭을 통해 근로조건 등의 기준을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단체협약제도로 전제하고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오늘날 우리나라에서는, 헌법적 관점으로서, 협약자율과 국가적 입법 간의 관계에서 국가는 협약자율을 좀 더 존중할 필요가 있다고 보며 이런 점에서 노동 3권의 자유권적 성격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협약자율 보장의 실질적 효과로서 그 수혜자들은 노조 조합원들만이 아니라 비조합원을 포함한 일반 근로자에게도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협약규율형성권 등 협약자율제도는 협약당사자에게 주어지는 일종의 특권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런 특권을 국가가 법률을 통해 부여할 수 있는 정당성은 이것이 공공복리에 부합할 때 비로소 확보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 같은 일반적 구속력제도를 활용한다면 OECD에서 발표하는 우리나라의 단체협약 적용률을 다소 개선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이런 공공복리적 관점에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35조의 단체협약의 일반적 구속력 조항의 법체계 내에서의 위상이 재정립될 필요가 있는데 동법 제35조는 협약구속력의 본래적 범위에 대한 예외가 아니라 사업단위에서의 협약구속력 범위에 관한 일반 원칙으로서 재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협약자율의 우위성을 강화하는 방법으로서, 국가는 근로조건에 관한 국가법의 획일성과 경직성을 유연하게 이완시켜 산업현장의 수요에 부응할 수 있도록 대단체협약 임의규정을 충분히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미 존재하는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대표와의 서면합의에 의한 유연화제도는 산별교섭과 산별협약으로도 할 수 있도록 하여 실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협약규율대상으로서 임금과 복리후생 등 전통적 근로조건 외에 고용과 직업훈련을 포괄하는 것은 오늘날 고용이 상대적으로 가치가 커지는 변화에 부응하는 점에서 바람직한 것이며, 더 나아가 노동조합은 임의적 교섭을 사용하여서라도 사용자의 일방적 정리해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협약조항을 사전에 확보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이외에 본 논문에서는 단체협약의 법규범적 효력은 국가의 수권에 기초한 것이며 일반 계약과 구별되는 외부규율로서의 성질 등 이론적 점검에 대해서도 다루었다.

    영어초록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industrial relations is that, at the background of enterprise level bargaining, the beneficiary of collective agreement is limited only to union workers of the enterprise, where trade unions are built or workers are joined a trade union. OECD report shows that the collective bargaining coverage rate of Korea is less than 15% comparing to OECD average rate, 32.1%. It means that in Korea the rest 85% of all workers are out of application of collective bargaining system. Specially the most workers of Korea, working in medium or small size company, are very hard to exercise the basic right to organize or to bargain collectively. So, I tried to research, in this paper, how we can improve the coverage rate by studying the collective agreement autonomy institution.
    In Korea, the Article 33 of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provides that: "(1) Part of rules of employment or labor contract which violates the standards concerning working conditions and other treatment of workers specified in collective agreement shall be null and void. (2) Matters not covered in a labor contract and the part which is null and void under paragraph (1) shall be governed by those standards of a collective agreement." This means that the parts of collective agreements with respect to working conditions shall apply compellingly to the relevant parts of the labor contracts and the rules of employments. So, in Korea, not only labor contracts but also rules of employment shall be correspondent to the collective agreement. And according to Article 92, A person who violates the essential contents of a collective agreement shall be punished by a fine not exceeding ten million won. It is like punishment to a person violating a law.
    And Article 35 (General Binding Force) of TULRA Act stipulates that: “When a collective agreement applies to at least half of workers of the same kind of job employed under ordinary circumstances in a business or workplace, it shall apply to the other workers of the same kind of job employed in the same business or workplace.” This general binding force of the collective agreement has the purpose to protect all workers under certain conditions, including non-union workers also, who would be forced to face the employer on the individual contract level, if there is no application of such a collective agreement.
    So, the nature of the collective agreement is exactly similar to the legal regulations, rather than a contract. To the workers, the collective agreement is a real and legal standards regarding working conditions.
    And if a collective agreement has the general binding force in the enterprise unit, i.e. the trade union(s) have representation of all workers in the enterprise-level bargaining, this agreement can be expressed by "a legal standard of working conditions" in favor of all workers. It can als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Korean collective agreement coverage rate.
    The application of the collective agreement to the non-unionist workers according to Article 35 of the TULRA Act corresponds with the public welfare of the constitution. And this constitutional accordance gives legitimation to the social prerogative of the collective agreement parties. So, the importance of Article 35 in the Labor Law needs to be reinterpreted as a general principle regarding the scope of the binding force of the Agreement.
    In this paper, the legal nature of the collective agree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lective agreement and state legislation were also dealt wi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