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상속회복청구권의 법적 성질 (A Study on the Legal Nature of the Right to Claim for Restoration of Inheritanc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2.09
28P 미리보기
상속회복청구권의 법적 성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46권 / 3호 / 215 ~ 242페이지
    · 저자명 : 김용호

    초록

    이 논고는 민법 제999조를 중심으로 상속회복청구권의 법적 성질에 관하여논구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상속회복청구권은 단일⋅독립된 청구권이 아니라 상속재산을 구성하는 개개의 재산에 관하여 생기는 개별적 청구권의 집합으로 이해하는 집합권리설이 타당하다. 대법원 판례는 초기에는 독립권리설에 따르고 있다가 1981 년 전원합의체판결에 의하여 집합권리설로 변경, 오늘에 이르고 있다. 상속회복청구권을 개별적 청구권과 독립된 권리로 이론을 구성하는 독립권리설에 의하면, 민법 제999조 제2항의 제척기간이 경과한 뒤에도 소유물반환청구권과같은 개별적 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으므로 상속관계의 신속한 안정을 위하여두게 된 위의 제척기간이 무의미하게 된다.
    둘째, 집합권리설에 따르면, 상속회복청구권과 개별적 청구권의 경합이 부정되므로, 상속재산에 대한 개별적 청구권은 상속회복청구권의 제척기간의 경과로소멸하게 된다. 소유권에 기인한 물권적 청구권은 소멸시효의 진행이 되지 않는데 유독 상속인이 갖는 물권적 청구권이 민법 제999조 제2항의 제척기간의 경과로 소멸한다는 결과로 되어 물권법의 기본체계를 뒤흔드는 결과가 된다. 이는우리 민법이 상속에 관한 법률관계를 조속히 확정짓고 거래관계를 빠른 시일내에 안정시키고자 하는 입법취지에서 비롯된 것이므로 부득이한 결과이다.
    셋째, 집합권리설에 따르면, 상속회복청구권과 개별적 청구권의 경합이 부정되므로 민법 제999조 제2항의 제척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개별적 청구권도소멸하게 되어 참칭상속인을 지나치게 보호하는 부당한 결과가 된다는 비판도있는데, 이 또한 둘째에서 본 부득이한 결과이다.
    넷째, 집합권리설에 따르면 둘째와 셋째와 같은 비판이 있는데, 이는 독일민법 제2029조와 같은 특칙(상속인의 물권적 청구권 행사의 특칙)을 신설함으로써 입법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고 본다.
    다섯째, 진정상속인이 참칭상속으로부터 상속재산을 양수한 제삼자를 상대로 상속회복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느냐의 문제도 독일민법 제2030조와 같은명문규정을 신설함으로써 해결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discussed the legal nature of the right to claim restoration of inheritance, focusing on Article 999 of the Civil Code, and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theory of collective rights, which understands the claim for restoration of inheritance as a collection of individual claims arising from the individual properties that make up the inherited property, rather than a single independent claim, is appropriate. The Supreme Court initially followed the doctrine of independent rights, but changed to the doctrine of collective rights in 1981 with the unanimous decision, which continues to this day. According to the theory of independent rights, which theorizes the right to claim restoration of inheritance as an individual claim and an independent right, even after the expulsion period of Article 999, paragraph 2 of the Civil Code has passed, an individual such as a claim for return of possessions The above exclusion period, which was set for the speedy stabilization of the inheritance relationship, becomes meaningless because the right to claim can be exercised.
    Second, according to the theory of collective rights, conflict between claims for restoration of inheritance and individual claims is denied, so individual claims for inherited property are extinguished after the expiration of the period for laiming for restoration of inheritance. As a result, while property claims arising from ownership rights are not extinguished by prescription, property rights held by heirs are extinguished after the expiration of the exemption period of Article 999, paragraph 2 of the Civil Code. This is a result that shakes the system, but it is an unavoidable result because the Korean Civil Code started with the legislative purpose of quickly establishing the legal relationship regarding inheritance and stabilizing the business relationship at an early stage.
    Third, according to the theory of collective rights, conflict between claims for restoration of inheritance and individual claims is denied. There is also criticism that it will be extinguished and that it will be an unfair result of overprotecting the matching heir, but this is also the second unavoidable result.
    Fourth, according to the theory of collective rights, there are criticisms such as the second and third, but this is due to the establishment of a special provision (special provision for the exercise of property rights of heirs) like Article 2029 of the German Civil Code. We think that it is desirable to settle legislatively by doing.
    Fifth, the issue of whether a sedated heir can exercise his right to claim restoration of inheritance against a third party who has inherited inherited property from matching it would be good toinheritance can be resolved by establishing a new prestige provision such as Article 2030 of the German Civil Cod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