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화역사적 활동이론 관점에서 마을교육공동체 활동 분석과 활성화 방안: K혁신도시 S마을학교를 중심으로 (Methods for analyzing and activating village educational community activities in the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Focusing on K Innovation City S Village School)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23.10
22P 미리보기
문화역사적 활동이론 관점에서 마을교육공동체 활동 분석과 활성화 방안: K혁신도시 S마을학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3권 / 19호 / 365 ~ 386페이지
    · 저자명 : 김연희, 박찬숙, 한정선, 김창환

    초록

    목적 K혁신도시의 S마을학교가 생성되고 성장하며 진화해 나가는 과정을 지속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Engestöm 의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을 중심으로 S마을학교의 활동체제를 분석하고 모순해결 과정에서발생한 마을학교의 변화와 성장을 연구하고자 한다.
    방법 문헌조사, 심층면담, 참여관찰을 실시하고 활동이론에 근거하여 활동체제를 분석하였다. 두 번의 심층면담은 S마을학교의 마을교사 전체를 대상으로 먼저 실시하고 마을교사 중 주요 책임자를 대상으로 2차로 실시하였다.
    결과 문화역사적 활동이론 관점에서 S마을학교 활동체제를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마을학교 5년의 활동기간은 활동체제의주체, 도구, 대상의 모순과 차이에 따라 크게 두 시기로 구분된다. 주체 요소에서 주요 모순은 마을교사의 개인별 상황과 활동력의차이에서 왔으며 마을학교의 정체성과 활동내용을 바라보는 마을교사 상호 인식 차이에서 발생했다. 도구에서 나타난 모순은 학생모집의 현실적인 어려움에서 시작하여 주민 참여 활동으로 확대 의견과 학생 중심 활동 집중의 두 의견으로 대립되었다. 공동체 요소의 모순은 마을학교에 대한 지역사회의 이해 부족, 거버넌스의 부재, 공모사업 재정 지원의 불확실성으로 나타났다. 주요 모순을 극복하며 확장적 학습이 일어나게 된 요인은 마을학교 전체 회의와 마을교사 배움터를 운영하고 마을안에서 공식적⋅비공식적 만남을가졌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마을교사 상호 간 정서적 친밀감이 형성되고 관계성이 확대되면서 모순과 갈등을 극복하고 새로운 활동체제를 창조적으로 만들어 내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서 마을학교의 지속가능성과 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를 위해서 필요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원들 내부의민주적인 의사소통 구조와 배움의 연속성이다. 둘째, 마을학교의 지향점과 활동내용은 변화할 수 있으며 이는 마을학교 구성원들과논의하고 합의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마을에서 주민들과 접촉 범위를 넓히고 마을 내 공동체와의 네트워크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지속 가능한 활동을 위한 민⋅관⋅학 거버넌스 구성에 행복교육지구와 지자체의 역할과 지원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creating, continuously growing, and evolving village schools in Gyeongnam Innovation C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ctivity system of village schools, based on Engestöm's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and to study the growth and change of village schools which arose from the process of resolving contradictions.
    Methods We conducted a literature research,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analyzed the activity system based onEngestöm's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Two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irst with all village teachers at S village school and secondly with key managers among village teachers.
    Result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village school's activity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are as follows. The five-year activity period of the village school is largely divided into two periods according to the contradictions and differences of the subject, tool, and object of the activity system. The main contradiction came from the difference in the individual situation and activity of the village teachers, an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village teachers who watched the identity and activity of the village school. The contradictions that appeared in the tool began with the practical difficulties of recruiting students, leading to two conflicting opinions: one to expand to resident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one to focus on student-centered activities. The contradictions in the community elements were expressed as the community's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village school, the absence of governance, and the uncertainty of financial support for the public offering project. The factor that led to the occurrence of expanded learning by overcoming major contradictions was that through continuous formal and informal meetings such as general meetings and teacher learning centers within the village, emotional intimacy was formed between village teachers and relationships expanded, thereby overcoming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It appears that a new activity system has been creatively created.
    Conclusion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lements necessary for the sustainability of village schools and vitalization of village educational communiti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a democratic communication structure and continuity of learning within the members. Second, the direction and activities of the village school can change, and this must be discussed and agreed upon with the village school members.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ange of contact with residents in the village and to have a network with the community in the village. Finally, it shows the need for the role and support of the Happy Education District and local governments in the formation of public, government, and academic governance for sustainable activ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