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행정소송으로서 당사자소송 활성화 방안 ― 항고소송, 민사소송과의 구별을 중심으로 ― (Measures to revitalize party litigation as an administrative litigation ― Focused on the distinction between appeal litigation and civil litigation ―)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2.03
40P 미리보기
행정소송으로서 당사자소송 활성화 방안 ― 항고소송, 민사소송과의 구별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행정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행정법학 / 22호 / 81 ~ 120페이지
    · 저자명 : 성중탁

    초록

    현행 우리나라 행정소송법이 항고소송 이외에 당사자소송을 행정소송의 한 유형으로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한 이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측면에서 학설상 ‘당사자소송활용론’과 ‘현장유지론 내지 항고소송 확대론’의 입장 차이는 행정의 효율성과 국민의 권리구제의 폭을 얼마나 확장할 것인지의 조화로운 해결 측면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즉, 항고소송을 강조하게 되면, 처분성 확대론에 의하여 행정청의 행정입법, 행정계획, 각종 사실행위 등이 취소소송의 대상이 되어 소송건수의 폭발적 증대가 예상되므로 행정의 효율성 등을 약화 내지 저해할 우려가 있음을 감안해야 한다. 이렇듯 취소소송 중심의 항고소송은 그 자체에 적지 않은 문제점을 노정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 결국 당사자소송은 새로운 유형의 소송형태들을 창출해 낼 수 있는 소송형식이라는 점, 현대 행정이 과거 침익적 행정 위주에서 급부, 계획, 조성적 행정행위 위주로 급변하고 있는 상황에서 다양한 공법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당사자소송의 비중도 자연스레 커질 것이 예상된다는 점 등에서 당사자소송 활용론의 가치는 이미 증명이 되었다고 할 것이다. 무엇보다 우리나라는 행정소송법 전면 개정안이 그동안 수차례 입법예고까지 된 바 있는데, 그 내용은 처분성 확대를 골자로 한 개정이 아닌, 당사자소송을 확대하는 취지에서 정의규정 등 추가되었다는 점에도 주목해야 한다. 이는 당사자소송의 활용을 통하여 처분성확대와 유사한 효과를 기대하는 입법자의 강력한 의사를 시사하는 것이다. 이제는 그동안의 공론화를 계기로 종래 “처분성”이 부정되어 항고소송으로 다툴 수 없었던 분쟁을 공법상 당사자소송으로 해결할 수 있는 계기가 충분히 마련되었다고 할 것이다. 공법상 당사자소송이 현대 행정에서 국민의 권리구제에 유용한 제도로 반드시 자리 잡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As long as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stipulates that party litigation is a type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other than appeal litigation, it is desirable to actively utilize i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s of ‘the theory of using party litigation’ and ‘the theory of maintaining the field or expanding the appeal and litigation’ should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a harmonious resolution of administrative efficiency and the extent to which the people’s rights remedies will be expanded. In other words, if the appeal litigation is emphasized, administrative legislation, administrative plans, and various factual acts of the administrative agency are subject to cancellation litigation due to the expansion of disposition, and an explosive increase in the number of litigation cases is expected. there is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are also claims that the appeal litigation centered on the cancellation litigation has many problems in itself. In the end, party litigation is a litigation form that can create new types of litig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rtion of party litigation will increase in the context of modern administration rapidly changing from intrusive administration to benefits, planning, and facilitation administrative actions. As it is expected, the value of the theory of use of party litigation in that respect is sufficiently proven. Above all, in Korea, the entire revision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has been announced several times in the past, and the content is not a revision to expand the disposition, but definition regulations, etc. Added. This is thought to suggest the strong will of the legislator, who expects similar effects to the expansion of disposition through the use of party litigation. Now, it can be said that the public debate has provided a sufficient opportunity to resolve disputes that could not be contested through appeals lawsuits due to the denial of “disposability” in the past. It is expected that the system will be established as a useful system for relieving righ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