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술적 형식의 개념과 미적 경험 (The Concept of Artistic Form and Aesthetic Experien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7.12
40P 미리보기
예술적 형식의 개념과 미적 경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회
    · 수록지 정보 : 美學(미학) / 83권 / 4호 / 199 ~ 238페이지
    · 저자명 : 황유경

    초록

    필자는 예술적 형식의 개념을 정립하고, 형식이 큰 몫을 차지하는 것으로 흔히 인식되어온 미적 경험의 성격을 논의한다. 먼저 종래의 형식주의와 신형식주의에서 운용한 형식 개념을 비판하며, 형식을 작품의 목적의 견지에서 의미 있다고 고려되는 내적 관계들로서 규정한다. 이어서 필자는 인지를 심리적인 의미가 아니라 흔히 그러해왔듯이 진위와 관련되는 인식적인 의미로 좁게 본다면 미적 경험은 인지적이지 않다는 캐롤에 반대한다. 그는 결국 형식의 경험이 미적 경험이라고 주장하지만, 필자는 인식적인 의미로도 미적 경험은 인지적임을 굿맨의 전략을 따라 주장한다. 끝으로 필자는 회화의 경우로 몇몇 사례를 들며 미적 경험의 과정에서 작품의 형식과 다른 성분들인 질료, 재현, 표현이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면면의 일단을 다룬다. 필자는 작품 내 이 네 가지 성분의 상호작용을 통해 무엇보다도 세계와 인간에 대한 종전에 파악하지 못한 새로운 국면을 알게 되는 것이 작품에 대한 인지적 경험으로서 미적 경험이라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The components or categories which together organize the artwork are ‘form,’ ‘matter,’ ‘representation,’ and ‘expression.’ Among these, form is usually known as an overriding factor for analyzing or appreciating art. Form is found when matter, subject matter, and emotion or idea are molded into a self-contained entity. In this paper, my aim is to set up the concept of artistic form and to characterize aesthetic experience in which form is a crucial factor. First, after criticizing the views of form in formalism and neoformalism, I conceive artistic form of an artwork as relations of elements significant in terms of the purpose of the artwork. Next, I examine the controversy between N, Carroll and A. Goldman over the character of aesthetic experience. For Carroll, aesthetic experience lies mainly in attention to formal properties, and he objects to Goldman who defends the broader view that includes cognitive and moral properties in aesthetic experience. Traditionally, cognition is usually thought of in terms of determining truth and falsity. Carroll objects to Goldman that even if cognition as a psychological process is involved in aesthetic experience, cognitive insight, understood epistemically, that is, as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is not an object of aesthetic experience. In this passage, I, contra Carroll and following N. Goodman, maintain that the point of aesthetic experience is cognition understood epistemically. With Goodman, I think that all artworks are referring symbols. For him, reference is comprehensively conceived as including exemplification and expression as well as representation. Here, the mediumistic components of form and matter are also referential.
    Finally, I intend to show how form, matter, representation, and expression interact with and bear upon each other in several cases of painting. I believe that art is a cognitive instrument which, among other things, teaches us about the world through the mutual interrelations of the above four compon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