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도 혼인의무등록에 관한 중앙법령의 필요성 및 법률대안 (A Legal Study on Compulsory Marriage Registration in India: Necessity and Alternativ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8.05
30P 미리보기
인도 혼인의무등록에 관한 중앙법령의 필요성 및 법률대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아시아연구 / 24권 / 1호 / 27 ~ 56페이지
    · 저자명 : 이지훈

    초록

    인도 헌법전문에서는 인도를 세속주의 국가로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헌법 제22조와 제25조 는 기본권리 조항으로써 모든 종교의 평등과 자유를 보장한다. 이러한 규정에 근거하여 다양한 종교에 바탕을 둔 속인법들이 인도에서는 평등하게 보장받는다. 반면 헌법 제44조는 국가정책의 지도원칙으로써 “국가가 인도 전역을 아우르는 단일민법을 전 국민에게 제공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규정한다. 이 규정은 종교와 관계없이 국가 통합을 조장한다. 결과적으로 헌법상 국가통합에 관한 조항과 문화 다양성에 관한 보호 조항 규정이 마찰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인도 정부는 단일민법의 필요성을 주장하면서 종교에 바탕을 둔 속인법 체계를 개혁하고자 한다. 혼인의무등록은 이러한 시도의 과정 중 하나이다. 이러한 법률 개혁은 향후 민주주의의 토대가 될 것이다.
    대부분 국가는 혼인의무등록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혼인등록을 의무화하고 있다. 하지만 인도에서는 종교에 바탕을 둔 속인법 체계가 지배적인 이유로 모든 인도 국민을 대상으로 한 혼인등록에 관한 일률적인 법률이 부재하다. 만약 단일민법을 제정한다면 인도에서 속인법 체계의 실체법상 변화와 절차법상의 변화를 기대할 수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단일민법의 실현 가능성은 희박하다. 따라서 절차법상의 법률 변화이기는 하지만 현(現)인도 속인법체계에서의 여성과 아동의 최소한 법적 지위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서라도 보편타당한 혼인의무등록의 입법이 필요하다.
    2006년 시마사건에서 인도대법원은 혼인의무등록의 중요성을 적시하면서 주(州)정부와 연방직할령(連邦直轄領)에서 혼인의무등록에 관한 법률적 조치를 이행하도록 지시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교적 예외와 배제를 두지 않고 전 인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혼인의무등록에 관한 중앙법령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인도 현행 속인법체계를 분석하고 그 법률과 법제의 변화에 대해 평가하고 있다. 또한 혼인의무등록에 관한 중앙법령 도입에 대한 법률 대안으로써 출생 및 사망 등록법(1969) 개정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더불어 인도 혼인의무등록에 관한 중앙법령 도입 시 발생할 수 있는 법률충돌은 없는지도 고찰하고 있다.

    영어초록

    Under the Constitution, India is a secular democratic republic. Article 22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of Religion) and Article 25 (Freedom of Religion) of the Constitution specify the basis for the equality and freedom of religion. Therefore, India has equally guaranteed personal laws based on respective religious and sectarian sects. On the other hand, Article 44 of the Constitution as state policy of directive principle stipulates that “the State shall endeavor to secure for all citizen a uniform civil code throughout the territory of India.” As a result, the objectives of national unity are conflicted with protection of cultural diversity under the Constitution of India. In this context, the Government of India considers to reform the personal law system based on respective religions by establishing the Uniform Civil Code. The legislation on compulsory marriage registration also is a part of such legal reform. These attempts would be provided new foundation of Uniform Civil Code in India.
    Most countries are already obliged the compulsory marriage registration. However, India does not have a uniformity of marriage registration because various personal laws based on religion are so prevailed. If the government of India enacted the Uniform Civil Code, it could be expected to make substantive and procedural legal changes of personal law system. However, its feasibility is almost unlikely. In order to ensure minimum legal statue and rights for vulnerable social group such as women and children in existing personal law system, the practical legislation for compulsory marriage registration is so necessary even if it is a procedural legal change.
    The Supreme Court in the Seema vs. Ashwani Kumar (2006) held that compulsory marriage registration is critically important. It also directed that the States and Union Territories have to take a legal steps for compulsory marriage registration. Nevertheless, the central statute on compulsory marriage registration for all Indian citizen without religious exceptions and exemptions is urgently required now.
    Accordingly, this article analyses the existing personal law system in India and exams its legal and legislative changes. It also suggests the necessity for amendment of Registration of Births and Death Acts (1969) as one of legal alternatives. Furthermore, it also analyses the legal conflicts that may raise when introducing such legisl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