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음군단순화와 관련된 몇 문제 (Several problems unsettled in the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3.03
30P 미리보기
자음군단순화와 관련된 몇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75권 / 109 ~ 138페이지
    · 저자명 : 최은영

    초록

    한국어의 어말자음군은 어말이나 자음 앞에서 두 자음이 모두 실현될 수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종성에 하나의 자음만 실현되는 음절구조제약에 따른 것으로 이를 자음군단순화라 한다. 이러한 자음군단순화의 실현 양상을 체계적이고 간결하게 규칙화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므로 본고는 자음군단순화의 규칙을 찾기에 앞서 방언에서 실현되는 자음군단순화의 현상의 특징을 먼저 검토하고자 한다.
    한국어의 어말자음군은 크게 ㄹ이 선행하는 자음군과 ㄹ이 아닌 다른 자음이 선행하는 자음군으로 나눌 수 있다. 본고는 ㄹ외의 자음이 선행하는 비ㄹ계 자음군을 자료로 하여 방언에서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방언의 자료는 제주도를 제외한 8개 지역을 대상으로 하되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의『한국방언자료집Ⅰ~Ⅷ』(1987~1995)에 준하여 논의하였다. 본고는 비ㄹ계 자음군단순화와 관련하여 자음군의 방언별 실현 양상을 검토하고 그에 관련하여 특이하게 실현되는 양상을 검토하였다. 방언에서는 기존의 연구와는 다르게 실현되는 양상들이 있다. 크게 후행음절과 관련된 것과 자음군단순화가 두 자음이 아닌 제3의 자음으로 실현되는 경우가 있었다. 후행음절과 관련된 것으로는 두 가지 특이한 실현 양상을 검토하였다. 첫째, ‘ㄳ, ㅄ’ 자음군은 자음이 후행하든 모음이 후행하든지 간에 경음으로 실현되어야 한다. 그러나 경음이 아닌 평음으로 실현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둘째, ‘ㄶ’ 자음군은 자음이 후행하면 격음으로 실현된다. 그러나 평음으로 실현되는 양상이 있었다. 그리고 어말자음군 다음에 후행하는 음절의 자질을 검토하여 어떠한 양상을 포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모음이 후행하는 경우 연음이 되어 자음군이 모두 실현되어야 하지만 하나의 자음이 탈락하여 재구조화가 실현되기도 한다. 이러한 재구조화가 방언별로 어느 정도 실현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와 같이 자음군단순화와 관련된 몇 가지의 문제점들을 통하여 자음군단순화의 실현에 대한 특질을 규명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Korean word final consonant cluster has the feature that both of thetwo consonants in the coda, Korean word final consonant clusters, shouldn'tbe pronounced in front of the coda or the consonants in in the initialposition. This is why a restriction of only one consonant in the word finalconsonant cluster having sound by the syllable structure constraints. Thisrule is called the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It is very hard to makethe aspect of the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a rule systematically andsimply. Therefore I intend to examine the aspects of the consonant clustersimplification which can be seen in dialects in this paper before I try tofind the rule for the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The Korean Word final consonant cluster is largely divided into the twogroups. One is the consonant cluster starting with ‘ㄹ’. The other is theconsonant cluster not starting with ‘ㄹ’. I have examined how the aspectsof Korean Word final consonant clusters, especially not starting with ‘ㄹ’ inthe word final consonant clusters, appear in dialects, Most of the date dealtwith in this paper are from The Collection of Korean Dialects(1987~1995),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which are collections ofdialect data from 9 districts, namely the whole country. But the date ofJe-ju were not studied in this paper. I have found two aspects in those dialects, which the former studies had passed by. One is related with thefollowing syllable, and the other is the case which the consonant clustersimplification appears not with one of the final consonants but with a thirdconsonant. Especially, I've examined the two extraordinary aspects relatedwith the following syllable. First, the consonant cluster ‘ㄳ, ㅄ’ should besounded into a tense sounds whether they are in front of the consonants orthe vowels. But I have found the extraordinary aspects that they aresounded into lax consonants not tense sounds. Second, the consonantcluster ‘ㄶ’ should be sounded into aspirated sounds in front of theconsonants. But I have also found the extraordinary aspects that they aresounded with lax consonants. Through Examining the features of thesyllables behind the Word final consonant cluster, I have able to catch howthe Word final consonant cluster are sounded. Finally, in front of thevowels, the latter one in the Word final consonant cluster should be linked,and then both in the Word final consonant cluster should be pronounced.
    But I have also found the extraordinary aspect that one of the consonant inthe word final consonants is dropped out by the reconstruction. So I havetried to examine how the reconstruction appears in each district exceptJe-ju.
    I hope that my research help look into the features of the consonantcluster simplification minut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