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물의 무단 반출로 인한 손해와 정기용선자의 선주책임제한 항변권 - 대법원 2014. 5. 9. 자 2014마223결정 - (Limitation of Ship Owner’s Liability by a time charterer with Delivery of Cargo without Collection of the Bill of Lading at a Bonded Warehouse - Korean Supureme Court Decision dated 9th May 2014, Cas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6.08
24P 미리보기
화물의 무단 반출로 인한 손해와 정기용선자의 선주책임제한 항변권 - 대법원 2014. 5. 9. 자 2014마223결정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국제거래와 법 / 16호 / 95 ~ 118페이지
    · 저자명 : 나우경, 정영석

    초록

    선주책임제한은 선박 운항과 관련하여 발생한 선주의 책임을 선박 톤수에 비례하여 총체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국제협약 또는 법으로 인정하는 제도이다. 대상 사건에서 선하증권 소지인은 운송인이 선하증권과 상환하지 않고 화물을 불법인도 함으로써 자신이 손해를 보았다고 하며 운송인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하였고, 선박의 정기용선자이었던 운송인은 상법 제769조에 기한 총체적 책임제한을 법원에 신청하였다. 논의의 핵심은 선하증권 소지인의 청구가 상법 제769조 제1호에서 규정한 “선박에서 또는 선박의 운항에 직접 관련하여 발생한... 물건의 멸실 또는 훼손으로 인한 손해에 관한 채권”에 해당하는 것인가이다.
    대상 사건은 선박에서 물건이 멸실된 것이 아니라 육상 보세창고에 보관 중 불법인도된 것이므로 상법 제769조 제1호의 정한 “선박에서” 발생한 물건의 멸실은 아니다. 또한 화물의 양륙이나 그 이후의 보관은 상사적 사항에 속하기 때문에 선박의 항해 또는 기술적 운항과 관련한 사항도 아니다. 화물의 불법인도가 물건의 물리적 훼손 또는 멸실도 아니어서 상법이 정한 선주책임제한의 요건을 만족하지 못한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대법원의 결정은 타당하다고 보인다.
    한 편 대상 사건 선주책임제한개시절차 신청자는 선박의 소유자가 아니라 정기용선자였다. 대상 결정은 정기용선자도 선주책임제한을 주장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다루지 않았지만, 선박의 상업적 활용이 다양해지고 용선이라는 단어가 여러 상황에 사용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이에 대한 검토는 중요하다고 본다. 미국의 경우 법률로써 선주책임제한을 주장할 수 있는 용선자로 선체용선자만 인정하고 있고 정기용선자는 인정하고 있지 않지만 영국의 경우는 판례로써 폭 넓게 정기용선자도 선주책임제한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인정하고 있다. 제도 도입의 취지상 선주 또는 선체용선자에게만 총체적 책임제한을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고,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서 대상 판결의 신청인은 책임제한절차 개시 신청 자격을 인정받지 못할 것이다.

    영어초록

    Limitation of Ship Owner’s Liability is a legal system which has been acknowledged by international conventions or local laws, where the ship owner’s liability occurred in relation to vessel operation can be limited in proportion to the tons of the ship. In the subject case, the bill of lading holder suffered damages by delivery of the cargoes without collection of the bill of lading and raised claims against the carrier. The carrier, who was the time charterer of the vessel, applied for Limitation of Ship Owner’s Liability under Article 769 of the Korean Commercial Law. The issues in this case was whether the damages of the bill of lading holder belonged to the “claims in respect of ... damage to property ... occurring on board or in direct conne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ship” in Clause 1, Article 769 of the Korean Commercial Law.
    In the subject case, the cargo was not damaged on board but was wrongfully delivered at a bonded warehouse and thus there was not a damage to property occurring on board under Clause 1, Article 769 of the Korean Commercial Law. In addition, discharging of the cargoes and the storage thereafter belong to the commercial areas and not to navigation or technical operation of a vessel. Wrongful delivery of a cargo is not a physical damage or loss and thus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to apply Limitation of Ship Owner’s Liability under the Korean Commercial Law. The decision of the Korean Supreme Court is reasonable.
    Meanwhile, the applicant for the procedure of the Limitation of Ship Owner’s Liability(“Limitation Procedure”) was the time charterer of the vessel. The Korean Supreme Court in the subject case did not consider the issue of whether a time charterer of a vessel can apply for Limitation Procedure. But, this issue seems important as in reality the commercial usages of vessels are being diversified and the word “charter” is used in various situations. In America, by law, only a bare boat charterer can be admitted as a charterer to apply for Limitation Procedure but a time charterer cannot be admitted. In England, by case laws, on the other hand, a time charterer can apply for Limitation Procedure. Considering the purpose of introduction of the system, it is proper only to allow the ship owners or bare boat charterers to limit their liability in total. Therefore, the applicant in the subject case should not be allowed to apply for the limitation proced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거래와 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