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제성장과 청소년실업률 간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s between Youth Unemployment and Economic Growth)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11.03
26P 미리보기
경제성장과 청소년실업률 간의 상관관계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독경상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상논총 / 29권 / 1호 / 85 ~ 110페이지
    · 저자명 : 안두순

    초록

    청소년들은 노동시장에서 마지막 취업(“last-in”)되고 제일 먼저 해고(“first-out”) 되는 약자이다. 글로벌 금융위기로 청소년층은 가장 큰 고용상의 타격을 입었다.
    본 논문은 고용사정의 전반적 개선에도 불구 세계 각국의 청소년실업률은 오히려 증가하면서 동시에 경제활동 참가율도 감소하는 이유를 밝히고 GDP 성장이 청소년 실업대책으로 얼마만큼 유효한지 오쿤의 법칙을 통해서 확인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먼저 몇 가지 청소년고용과 실업의 정형화된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는 경기민감성, 경기 반응의 비대칭성, 높은 변동성, 실업의 고착성 등으로 압축된다.
    오쿤 테스트는 두 가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차분방정식을 이용한 분석에 따르면 한국에서 청소년실업률을 안정시키기 위한 실질 GDP 성장률은 연 5.6%이고 전체 실업률을 안정시키기 위한 실질 GDP 성장률은 연 5.4%였다. 또한 청소년실업 관련 오쿤계수는 15.6으로 전체 실업 관련 오쿤계수인 19.7보다는 작았다. 본 분석을 통해서 GDP 성장이 청소년실업률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전체 실업률 변화에 미치는 영향보다 더 작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거시경제적 여건변화가 청소년의 고용상황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만 반대로 노동시장에서 청소년의 고용사정 변화가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제한적이다.
    동태방정식에 의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당기의 실질 GDP 성장(Xt)이나 전기의 실질 GDP 성장(X_(t-1))은 당기의 전체실업률이나 청소년실업률 모두를 감소시켰다. 그러나 전전기의 GDP 성장(X_(t-2))은 당기의 전체 실업률이나 청소년실업률 모두를 증가시켰으며 전기의 실업률(U_(t-1)) 감소가 당기의 실업률을 증가시키는 정도는 전체실업률에서보다 청소년실업률에서 더 컸다. 이처럼 일반적 예상과 다른 결과를 보인 것은 무엇보다도 청소년고용과 실업의 정형화된 사실, 그 중 특히 청소년실업의 고착성 및 청소년 실업률과 고용율 간의 비대칭성에서 찾을 수 있다.
    본 논문의 최종 결론은 경제 성장이 중요하지만 그 하나만으로 해결하기에는 청소년실업 문제는 너무 복잡하고 복합적인 요인들이 얽혀있다는 점이다. GDP 성장 외에도 인구학적 추세, 노동시장 관련 제도와 관행 및 정책 등이 청소년실업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높은 수준에서의 안정적인 GDP 성장은 청소년실업의 안정화를 위한 하나의 필요조건일 뿐이다.

    영어초록

    The position of youth at the labour market can be characterized with the symbolic phrase "last in and first out". Since the global economic crisis that erupted at the end of 2007/beginning of 2008, youth unemployment increased world wide significantly faster than elder generation. The youth unemployment rate has kept increasing even in the mid of 2010, where the general economic situation and the employment prospects for adults are clearly improved.
    After the attempt to identify some stylized facts of the youth unemployment in chapter II, chapter III tests Okun's law to find out the impact of GDP growth on the change of youth unemployment in Korea. According to the "Difference Version" of Okun's test, 5.6% of GDP growth per year is required for keeping the youth unemployment stable, whereas GDP growth that required for keeping the general unemployment stable is 5.4%. The relative small difference between two figures (0.2%point)does not mean that the labour market of youth shows no structural and behavioral differences to that of elder generation. Then, the "stable level" of youth unemployment rate in Korea lies at 7.11%, whereas that of elder generation lies at 3.40%. The "Okun's coefficient" for youth unemployment is 15.6, smaller than that for general unemployment, which lies at 19.7. These Okun's coefficients in Korea are unusually large in international comparison. Some explanations for that are delivered by studies of Moosa(1997), Kaufman(1998), Malley and Molana(2008), and J.S. Hahn(1999), which show very high Okun's coefficients for Japan and for Korea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Dynamic Version" of Okun's test, GDP growth in present quarter(X_t) and 1 quarter before (X_(t-1)) leads to the reduction of youth unemployment, while that of 2 quarters before(X_(t-2)) leads to the increase of youth unemployment. The unexpected result of period(X_(t-2)) can be explained by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youth unemployment identified in chapter II. For example, when the economic recovery is expected, some new youth work forces enter, with some time-lag, into the labour market as job seeker, so that not only the participation rate, but also the unemployment rate of youth goes up.
    Most studies tend to suggest aggregate economic activity and GDP growth to be a major determinant of the level of youth unemployment. The results of Okun's test in this paper suggest also the importance of GDP growth for keeping youth unemployment down. But The determinants of the level of youth unemployment are multiple, so the GDP growth alone cannot solve the problem. Besides the demographic trends, labour market institutions and government policies play important role as well. Sustained GDP growth is a necessary condition, not a suffici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