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이데거 진리론의 내적 변화과정 (Ein immanenter Wandel in der Wahrheitslehre Heidegger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08.12
36P 미리보기
하이데거 진리론의 내적 변화과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상학회
    · 수록지 정보 : 현상학과 현대철학 / 39호 / 65 ~ 100페이지
    · 저자명 : 정은해

    초록

    이 글은 하이데거의 전기 작품들(『존재와 시간』, 「근거의 본질」, 「진리의 본질」) 속에서 그의 진리론의 변화를 추적하면서 그 변화내용을 확정하려 한다.
    하이데거는 『존재와 시간』 44절에서 실존론적-존재론적 진리론을 전개하면서, 일치라는 진술의 진리를 가능케 하는 것은 발견함이라는 실존론적 진리이고, 이것의 근거는 개시성이므로, 개시성이 가장 근원적인 진리라고 확정한다. 아울러 현존재의 구성틀에 피투성과 기투만이 아니라 몰락도 속해 있는 까닭에, 비진리로서의 발견된 것의 차폐성과 개시된 것의 폐쇄성이 생겨난다고 해명한다. 「근거의 본질」에서 하이데거는 근거의 본질이 3중적 초월이라는 것을 해명하면서, 초월에서부터 근거와 진리를 규정한다. 그에 의하면 존재자 전체에 사로잡혀 있음과 세계기투에 의해 존재이해가 생겨나며, 이것이 존재자의 개방화상태를 가능하게 하고 정초한다. 이런 개방화상태에 있어서의 존재자가 선술어적 존재자인데, 이것을 대상화하며 진술한 것이 명제적 진리이다. 그는 명제적 진리를 가능하게 하는 선술어적 존재자를 존재자적 진리, 이것의 근거가 되는 존재이해를 존재론적 진리로 규정한다. 아울러 그는 자유의 근거는 탈-근거이고, 이것이 근거의 비-본질이며, 이 같은 유한한 자유가 증명에서 근거를 전도하고 차폐하는 근원이라고 해명한다. 「진리의 본질」에서 하이데거는 진리의 본질을 3중적 구조(존재자 전체의 탈은폐에 관여되어 있음과 존재자 전체의 탈은폐성에 관여함, 존재자의 탈은폐)에 있어서 파악하고, 이것에 대응시켜 진리의 비본질의 3중적 구조(은폐, 미혹, 차폐성 내지 차단성)를 해설한다. 존재자 전체의 탈은폐가 항상 기분 젖어 있음에 의한 유한한 탈은폐이기 때문에, 은폐는 탈은폐에 선행하는 것이 된다. 은폐의 망각에 의해 미혹이 생겨나고, 미혹 속에서 존재자의 탈은폐성은 차단되고 차폐된다. 「진리의 본질」의 용어들을 기준으로 삼고 이것을 이전의 저작들의 용어들과 비교해 보면, 일정한 상응성과 차이성이 나타난다. 「근거의 본질」에서는 ‘비-본질’(은폐)에 해당하는 것이 ‘탈-근거’이고, ‘대응본질’(미혹)에 해당하는 것은 없거나 모호하고, ‘비본질’(차폐성 내지 차단성)에 해당하는 것은 ‘근거의 차폐성 내지 전도성’이다. 『존재와 시간』에서는 ‘비-본질’(은폐)에 해당하는 것이 44절의 진리론 속에 없고, ‘대응본질’(미혹)에 해당하는 것은 ‘개시된 것의 폐쇄성’이고, ‘비본질’(차폐성 내지 차단성)에 해당하는 것은 ‘차폐성 내지 차단성’으로 동일하다. 오직 「진리의 본질」에서만 나타나는 ‘은폐’라는 개념은 하이데거의 후기 사유의 핵심 개념이다. 세 저작 속 개념들 사이의 위와 같은 상응성과 차이성은, 하이데거의 진리론이 세 저작 속에서 내적인 변화를 겪었고, 「진리의 본질」에서 결정적 형태를 갖추었고, 거기서 형성된 탈은폐적 은폐라는 진리개념이 그의 후기의 존재역사적인 사유를 추동하는 핵심개념이 되었다고 추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영어초록

    Diese Schrift versucht, nach dem Wandel der Wahrheitslehre Heideggers in Sein und Zeit, “Vom Wesen des Grundes” und “Vom Wesen der Wahrheit” zu suchen und den Wandelsinhalt darin festzustellen.
    Im Kapitel 44 von Sein und Zeit entfaltet Heidegger seine existenziale und ontologische Wahrheitslehre. Darin erläutert er, daß die Wahrheit der Aussage (Übereinstimmung) von dem Entdecken des Seienden in seiner Entdeckheit ermöglicht wird, und daß dieses Entdecken seinerseits in der Erschlossenheit grundet. Aufgrund dieser Erläuterung stellt er das Entdecken und die Entdeckheit als die ursprüngliche Wahrheit fest, die Erschlossenheit als die ursprünglichste Wahrheit. Weiter erläutert er, daß die Unwahrheit (die Verschlossenheit und die Verdecktheit) deswegen entsteht, weil auch das Verfallen zur Seinsverfassung des Daseins gehört.
    In “Vom Wesen des Grundes” erläutert Heidegger die dreifache Transzendenz, die hier auch Freiheit heißt, als das Wesen des Grundes und auch als die Ermöglichung des Grundes. Nach seiner Erläuterung entsteht das Seinsverständnis aus dem Weltentwurf und der Eingenommenheit vom Seienden im Ganzen und ermöglicht die Offenbarkeit des Seienden. Diese Ermöglichung als ein transzentales Gründen ist das Begründen des Seienden. Das begründete Seiende ist das vorprädikative Seiende, aufgrund dessen die propositionale Wahrheit ermöglicht wird. Hinsichtlich des Ermöglichungsbezugs wird das vorprädikative Seiende als die ontische Wahrheit bestimmt, das diese ermöglichende Seinsverstandnis als die ontologische Wahrheit. Weiter erläutert Heidegger, daß der Grund der Freiheit (Transzendenz) der Ab-grund ist, der hinsichtlich des Wesens des Grundes als das Un-wesen des Grundes bestimmt werden kann, und daß der Grund wegen der endlichen Freiheit verkehrt und verdeckt werden kann.
    In “Vom Wesen der Wahhrheit” erläutert Heidegger das Wesen der Wahhrheit in seiner dreifachen Struktur (Eingelassenheit in die Entbergung des Seienden im Ganzen, Sicheinlassen auf die Entborgenheit des Seienden im Ganzen und das Entbergen des Seienden) und dementsprechend das Unwesen der Wahrheit in seiner dreifachen Struktur (Verbergung, Irre, Verdecktheit). Weil die Entbergung nur in einer bestimmten Gestimmtheit geschieht, geht die Verbergung immer der Entbergung voraus. Von der Vergessenheit der Verbergung aus entsteht die Irre, innerhalb derer die Entborgenheit des Seienden im Ganzen verdeckt wird. Wenn die Begriffe in den drei Schriften miteineinder verglichen werden, kann es bemerkt werden, daß sowohl ein Einklang als auch ein Unterschied zwischen ihnen liegen. In “Vom Wesen der Wahrheit” wird die Verbergung als das Un-wesen bestimmt, die Irre als das Gegenwesen, die Verstelltheit als das Unwesen.
    Die Begriffe ‘Ab-grund’ und ‘Verkehrtheit’ in “Vom Wesen des Grundes” entsprechen je ‘Un-wesen’ und ‘Verdecktheit’, während es kein Bestimmtes oder nur ein Unklares darin gibt, was ‘Gegenwesen’ entspricht. Die Begriffe ‘Verschlossenheit’ und ‘Verdecktheit’ in Sein und Zeit entsprechen je ‘Gegenwesen’ und ‘Verdecktheit’, während es nichts darin gibt, was dem ‘Un-wesen’(Verbergung) entspricht. ‘Verbergung’, die nur und erst in “Vom Wesen der Wahrheit” vortritt, ist ein Kernbegriff des Denkens späteres Heideggers.
    Aufgrund des so gefassten Einklangs und Unterschiedes, die in den drei Schriften bemerkt werden können, ist eine Schlußfolgerung möglich, daß sich die Wahrheitslehre Heideggers in jeder der drei Schriften wandelte und in “Vom Wesen der Wahrheit” eine entscheidende Gestalt des Wahrheitsbegriff gewann, und daß der Kernbegriff der entbergenden Verbergung in “Vom Wesen der Wahrheit” das seinsgeschichtliche Denken späteres Heideggers vertrieb.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상학과 현대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