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칼 바르트의 교회론 (A Study on Karl Barth’s Ecclesiolog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4.09
40P 미리보기
칼 바르트의 교회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39호 / 199 ~ 238페이지
    · 저자명 : 박성권

    초록

    칼 바르트의 신학은 교회 중심적이고 그의 교회론은 논쟁적이다.
    그의 교회론은 화해론 1부, 2부, 3부에 잘 드러나는데, 여기에서 그는 전통적인 교회론과 논쟁하면서 이를 전개한다.바르트의 교회론이 전통적인 교회론과 대결하면서 제시하는 교회 이해는 다음의 내용으로 정리될 수 있다. (1) 교회는 사건이다. 로마교회가 주장하듯이, 제도나 기구가 아니라 교회는 살아계신 하나님을 성도가 만나는 사건이다. (2) 교회는 가시적인 교회로서만 존재한다.
    본질적인 교회로서의 불가시적인 교회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원론적인 교회론은 거부된다. (3) 교회는 그 특성상 종말론적이다. 보이는 교회는 아직 완성된 교회가 아니다. 완성된 교회는 종말의 때에야 비로소 나타날 것이다. (4) 교회는 신앙하는 자들이 모인 곳이다. 교회의 가입 요건은 신앙뿐이며, 신앙이 교회의 핵심이지 소위“사도계승”이 아니다. (5) 교회는 순종하는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그리스도의 제자가 된 교회는 그리스도에게 순종해야 한다. (6) 교회는 공동체적인 성격을 가진다. 사적이고 개인주의적이며 신앙주의적인 교회 이해는 금물이다. 교회는 그 특성상 공동체적이다. (7) 교회는 세상을 위해 존재한다. 교회는 그 자체가 목적이 되지 못하고 오직 세상을 섬기기 위해서세워졌다.
    화해론 1부에 등장하는 교회는 에클레시아 혹은 소집 공동체이다. 바르트는 소집 공동체로서의 교회 본질로 교회의 네 가지 표지를 제시한다. 또한 교회는 그 실존으로 시간성을 갖는다.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과 재림의 시간 사이에 교회는 존재한다.
    이러한 바르트의 교회론은 성서적이고 종교개혁적인 교회론이라는 평가를 받을 수 있다. 또한 교회를 단순히 개인들이 모인 무리로 파악하지 않고 공동체성을 강조한 점도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세상을 위한 교회 개념도 현대 신학계에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이에 반해 세상을 위한 교회 개념은 여전히 미흡한 개념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의 이 개념은 명제 수준에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모습은 신앙을 개인 문제로 축소화시키고, 교회를 신앙인들의 게토로 이해하는 세상 문화를 이기는 데 무력하다. 세상을 위한 교회 개념이 과연 어떻게 제시되어야 하는 것은 우리에게 남은 중요한 과제이다.

    영어초록

    The theology of Karl Barth is church-centric and his ecclesiology is controversial. His ecclesiology is written in Church Dogmatics IV/1-3 where he proceeds his opinions with convertsations against traditional ecclesiology.
    These are what his ecclesiology shows against traditional ecclesiology. (1) The church is the event. It is not the institution or organization which Roman Catholic Church says what church is but the event in which living God encounter christians. (2) Church is only visible one. There is not invisible church as the essential one. The dualistic ecclesiology is rejected. (3) The church is eschatological.
    The visible church is not yet consummate one. The consummate one will be in last time. (4) The church is the community of the believers. The only condition of the entrance and the heart of the church is not the apostolic succession, but the faith.
    (5) The church must be the obedient community. The church of Jesus’apostles obeys Him. (6) The church has the communal feature.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church is not private, personal, and fideistic one but a communal one. The church is community in essence. (7) The church is for the world. The aim of the church is not for itself but the world that it waits in.
    The church in Church Dogmatics IV/1 is ecclesia or the calling community. Karl Barth suggests four symbols of the church as the essence of it. And it has the time as the existence of it. It is between the first parousia and the second one.
    His ecclesiology is the biblical and the reformative one. And we highly value his ecclesiolgy in that he accents the communal position of the church. The concept of the church for the world gives the insight to modern theological circles.
    On the other hand, the concept of the church for the world is still deficient one. This one stays on the level of the thesis. This reduces the faith in the personal and it has no power against the worldly culture which underestimates the church the ghetto of the believers. It is our crucial assignment how we suggest a proper concept of the church for th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직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