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栗谷의 太極論 硏究 (A Study about the Taiji Theory in Yulgok's Philosoph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8.06
40P 미리보기
栗谷의 太極論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36권 / 37 ~ 76페이지
    · 저자명 : 손흥철

    초록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6∼1584)는 「천도책(天道策)」과 「역수책(易數策)」을 지었고, 여기서 그의 태극론이 시작된다. 특히 율곡은 「역수책」에서 우주만물의 생성과 운행 법칙을 역수(易數)로 이해하고 그것을 태극과 음양으로 풀이하여 설명하였다.
    율곡은 우계(牛溪) 성혼(成渾. 1535∼1598)과의 편지에서 리통기국(理通氣局)과 기발리승일도(氣發理乘一途)을 주장하고, 태극과 음양은 선후가 없으며, 따라서 ‘동정무단(動靜無端), 음양무시(陰陽無始)’의 원칙을 잘 이해해야 한다고 하였다.
    『성학집요』에서 율곡은 ‘태극동이생양(太極動而生陽)’에서 ‘生陽’은 결코 ‘유생어무(有生於無)’ 의미가 아니라고 하였다. 그리고 ‘일동일정(一動一靜)’도 그렇게 시키는 어떤 존재가 있는 것이 아니라 동정(動靜)의 기기(氣機)가 본래 그러할 뿐이며, 리와 기도 선후가 없다고 보았다.
    율곡은 사암(思菴) 박순(朴淳. 1523∼1589)과의 논변에서 자신의 태극론을 정립한다. 태극은 음양의 기가 아니며, 음양이 동정하는 기기(氣機)라고 하였다. 여기서 태극은 곧 리로 해석될 수 있다. 그리고 음양은 시작과 끝이 없으며, 음양의 동정에 태극은 항상 거기에 존재하며 결코 따로 떨어져 홀로 존재할 수 없다고 보았다. 그리고 무극(無極)의 개념을 시작과 끝이 없는 무궁함의 개념으로 이해한다.
    율곡의 태극론은 주리(主理)도 아니고 주기(主氣)도 아니며, 리기일원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율곡의 태극론은 그의 리기론을 정립하는 기초이론이며, 이후 기호학파의 중심이론이 되었다. 이러한 율곡의 태극론은 그의 독창적 견해이며, 결코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 1491∼1553)의 주리적(主理的) 설명이나 화담(花潭) 서경덕(徐敬德. 1489∼1546)의 주기적(主氣的) 성향과는 다르다. 따라서 이언적과 서화담의 이론을 종합하였다거나 영향을 받았다고 단정하기 어렵다.
    그리고 이제는 태극론에 대한 형이상학적 연구와 함께 이것이 인간의 삶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를 살펴야 한다. 우주자연의 큰 흐름[敦化]과 작은 흐름[川流] 무궁하게 계속되는 그 ‘운행의 규율성과 자연의 기능’이 태극이며, 생명의 모든 근원이 태극이라는 의미이다. 태극은 율곡의 생명철학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YulGok Yi I(1536∼1584) wrote “A Questions and answers for the way of Heaven(天道策)” and “A Questions and answers the change and the number(易數策)”, and this is where his Taiji theory began to be formed. He especially understood the principle of creation and operation of the whole creation in the “A Questions and answers the change and the number(易數策)”as the change and the number, and explained it by describing it as Taiji and Yin Yang(陰陽). YulGok emphasized “all penetrating Li and defining Qi(理通氣局)” and “the only one way in li resting on top of the work of qi(氣發理乘一途)” in a letter with WuGye(牛溪) SeongHon(成渾. 1535∼1598),there is no order in Taiji and Yin yang(陰陽), accordingly he said that we need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having no clue in movement and quietness” and “having no beginning in Yin Yang.
    In ShengHakJibyo(聖學輯要), YulGok said that Shenyang(生陽) in “Taiji to move and Shenyang(太極動而生陽)” never mean “being comes from nothing(有生於無)”. And he thought that ‘YinYang’s one move, one rest(一動一靜)’ there is no such thing as a schedule for all of them, but the function of movement and quietness that's the way it is, there is no order in li(理) and qi(氣). YulGok establishes his own theory of Taiji in the argument with SaAm(思菴) Park Soon (1523-1589). The Taiji is not the qi of yin and yang, and is the function of movement and quietness of yin and yang. Here the Taiji can be interpreted as li(理). And the yin and yang has no beginning or ending, and the li(理) is always there in the movement and quietness of yin and yang, and it can never exist alone. And he understand the ideas of the Wuji(無極), endless concepts of beginning and ending.
    YulGok’s Taiji theory is neither li-centered(主理) nor qi-centered(主氣), it can be called a li qi monotheism. And YulGok’s Taiji theory was the basic theory that established his Li Qi theory, and later became the central theory of the GiHo school. It is his original view, and it is far different from that li-centered(主理) theory of Hoejae(晦齋) Yi Eon-jeok(1491∼1553) and the qi-centered(主氣) theory of HwaDam Seo GyengDuk(徐敬德. 1489∼1546). So it is difficult to be influenced or combined with their theory.
    And now, along with the Metaphysical study of the Taiji theory, it is necessary to look at how it relates to human life. The endless flow of “the rules of operation and functions of nature” is the Taiji, and all sources of life are Taiji. The Taiji theory is also the philosophy of the life of YulGo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