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삶의 태도변화:소유론에서 존재론으로 (Shift in attitude on life:From possessive life to ontological life)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3.11
35P 미리보기
삶의 태도변화:소유론에서 존재론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생명연구 / 30권 / 75 ~ 109페이지
    · 저자명 : 박혜순

    초록

    오늘날 우리는 존재론적 위기에 처해 생명이 좌초되는 현상을 자주 목격하게 된다. 사회적 경쟁구조가 충돌의 위험을 수반하고 있고, 그 과정에서 굶어죽는 사람도 발생하고 자살하는 사람도 늘어나고 있다. 이런 상황이 계속되게 할 수는 없으므로 변화가 필요하다. 철학이 그 기반을 마련해주어야 하는데 변화의 시도는 인간의 실존양식에서 시작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들 대부분의 실존양식은 소유론적이다. 내가 보기에 소유론적 실존양식은 생명력 고갈과 관계되고 존재론적 실존양식은 생명력 고양과 관계된다. 더욱 더 중요한 것은 우리의 실존양식이 미래세대의 존속문제와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에 이 글에서는 인간이 존재론적 실존양식으로 전환해야 하는 이유를 노자와 「계사전」 그리고 『태일생수를 전거로 삼아 전개했다. 노자의 유무상생, 「계사전」의 음양의 법칙, 『태일생수』의 일결일영의 법칙은 우리가 존재법칙의 반쪽만 실현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해준다. 소유론적 실존양식은 우리 스스로 관계적 맥락을 파괴하고 존재기반을 무너뜨리는 방식이다. 그것은 또 이 세계에서 ‘생성 변화의 물결’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생명위기를 야기하는 주된 원인이다. 따라서 해법은 우리의 실존양식의 변화에서 찾아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In today’s world, the phenomenon of stranded life caused from ontological crisis is frequently observed. Our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brings about catastrophic results; such as increasing the number of people who die from hunger and by suicide. This situation cannot be tolerated. Change is needed. Philosophy should play a foundational role in initiating such a change. The attempt of change must begin from humans’ modes of existence. What is taken by majority of people today is possessive mode of existence, which is correlated to depletion of life. On the other hand, ontological mode of existence is correlated to vitality of life. What is important to point out in this context is that our mode of existence is interrelated to existential problem of future generation. This implies that future continuation is dependent on our modes of existence. In this article, I am going to argue that we should move on to ontological mode of existence from possessive mode of existence. This argument will be supported by the water’s mode of existence in three classical pieces of Lao-tzu, ‘the Commentary on the Apprehended Phrases’ and ‘The Great One Gave Birth to Water’. Lao-tzu’s ‘being and non-being beget each other’, The principles of Yin and Yang of ‘the Commentary on the Appended Phrases’ and “‘the principles of filling and clearance’ of ‘The Great One Gave Birth to Water’” provoke us to realise that we are pursuing only half of the modes of existence. Possessive mode of existence is a trivial manner that ruins our relational context and existential foundations on our own. It is also the main cause of life crisis as it would not allow ‘wave of change generation’ to operate proper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