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부의 성역할 태도로 본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Women’s Economic Activities and the Gender Role Attitudes in Conjugal Relationships)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7.05
42P 미리보기
부부의 성역할 태도로 본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학 / 51권 / 2호 / 191 ~ 232페이지
    · 저자명 : 문지선

    초록

    이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의 8개년 자료(2008-2015년)를 이용하여, 1, 2, 3 각각의 가구소득 분위를 계속 유지한 가구와 가구소득계층이 계속 변한 가구별로,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에 관한 부부의 성역할 태도가 실제 여성의 경제활동과 어떻게 연관이 있는지 PA추정으로 분석하였다. 상대적으로 여성의 정규직 여부가 여성 자신의 태도와 관련이 있는 것과 달리 취업 여부에는 남편의 의견이 중요해서, 여성의 고용률이 낮은 것은 남편이 충분히 진보적이지 않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었다. 부부의 성역할 태도를 조합하자, 부부 모두 진보적인 가정은 여성의 경제활동에 유리한 조건이 되고 있었는데, 특히 중간층 가정에서 여성이 경제활동에 대한 의지가 강하고 남편의 공감과 협조도 있다면 취업뿐만 아니라 정규직으로 일할 가능성도 더 높았다. 여성이 남편과 다른 성역할 태도를 지닌 경우 경제활동에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해서는 인지부조화 개념을 이용하여, 부조화의 압력을 받은 여성이 부조화를 줄이기 위해 노력한 결과로 해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부부의 성역할 태도를 각자 보는 것보다 조합하여 같이 분석하는 것이 필요함을 뒷받침할 수 있었다.
    여성의 경제활동에 있어 상위소득층 유지 가구는 남편의 생각이, 하위소득층 유지 가구는 여성 자신의 태도가 중요했다. 하위층 여성은 자신의 성역할 태도가 진보적일수록, 즉 경제활동에 긍정적일수록 실제로 그렇게 행동하는 경향이 있지만, 상위층 여성은 다른 소득계층의 여성보다 진보적임에도 자신이 아닌 남편의 태도에 의해 취업 여부가 결정되었다. 따라서 소득계층별로 여성의 주체성이 발휘될 수 있는 가족적 특성이 다르고, 특히 진보적인 고소득층 여성이 저소득층 여성보다 남편에 더 의존적이라고 할 수 있었다. 이 글은 성역할 태도가 점점 진보적으로 변하고 있지만 변화의 속도가 성역할 규범의 세부 항목, 성, 소득계층별로 중첩되어 다를 수 있음을 보이면서, 이 모순적 상황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지부조화에 여성이 어떻게 대처하는지 주목하여 해석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how conjugal gender role attitudes on economic activity of married women is related to the women’s actual economic activity. It observed three(3)-quantile families by household income which were kept the quantile, and other families that were changed, using eight years data(2008-2015)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The findings are :the low rate of female employment is due to less progressive attitudes towards gender role of the husbands, for their opinion about the employment of the female affect greatly the wives’ employment status; however, the forms of employment of the woman is related to the attitude of the woman herself. When conjugal gender role attitudes are combined, those families in which both husband and wife are progressive is the most favorable condition for a woman to be hired or even getting a permanent position, especially among those holding two-thirds household income quantile(the middle class). When it comes to the case in which the couples had differences in their attitudes on gender role, the result on how it affects women’s economic activity may be interpreted as woman’s effort to reduce tensions induced by the disharmony under the pressure of cognitive dissonance. Thus, the results support and suggest that the combined attitudes on gender role in conjugal relationship from both the husband and wife rather than the separate attitudes from each party is crucial for analysis in the topic.
    For the upper-quantile kept families, the husbands’ opinion was dominantly affecting wives’ participation in work force; nevertheless, among the lower-quantile kept families, it was the opinion of wives themselves that affected more their economic activity. A woman of the lower class tend to participate in the labor market as much as her gender role attitude is progressive, but women in the upper class were not as much. It was more determined by not her own attitude but her husband’s attitude, though she is more gender egalitarian than women from any other quantiles. Therefore this address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in which the woman can bring out her subjectivity differs by the household income level, and especially a progressive woman of the upper class is actually more dependent on the husband than a woman of the lower class. Showing that gender role attitudes become more progressive but the speed of its change can differ by specific gender role norms, sex, income class overlapped, this article notices and interprets how women cope with cognitive dissonance caused by this discrepan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