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례분석을 통한 위치상표의 식별력에 대한 고찰 (Study on distinctiveness of a position mark by analyzing case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3.12
35P 미리보기
사례분석을 통한 위치상표의 식별력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고려법학 / 71호 / 387 ~ 421페이지
    · 저자명 : 박윤석

    초록

    2012년 12월 20일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서 독일의 아디다스社가 제기한 ‘옆구리 삼선(三線) 셔츠’의 상표등록 거절결정 취소 소송에서 등록거절 결정을 유지한 원심을 깨고 대법원은 사건을 특허법원으로 돌려보냈다. 또한 판결문에서 현행 상표법상 위치상표를 인정 할 수 있다는 취지의 판시를 하였다. 위치상표를 등록하고 싶은 출원인은 상표등록 출원서를 제출할 때 상표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해서 점선 또는 실선으로 상품의 일반적인 형태를 묘사한 다음 그 위에 상표가 위치할 지점에 굵은 선 또는 기타 방법으로 상표의 위치를 나타내는 방식으로 위치상표를 표시한다. 또한 해당 상표견본에 대해서 위치를 나태는 표시 이외에는 상표의 도형을 구성하지 않는다는 설명을 첨부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대한민국 특허청은 상품형태를 점선으로 그린 후, 식별력 있는 표장을 특정위치에 부착한 것을 전체적인 도형상표로 파악하고 도형 전체가 상품의 일반적인 형태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여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3호 및 제7호를 적용하여 등록을 거절하여 왔다.
    상표의 가장 근본적인 기능 중 하나는 특정 상품을 다른 제조자가 만든 상품과 식별을 가능하게 하고 해당 상품의 출처에 관한 정보를 소비자들에게 전달해 줄 수 있는 출처표시 기능이라 할 수 있다. 위치 상표도 이러한 논의의 범위에서 벗어 날 수 없다. 위치상표란 제품의 특정 부분에 위치한 표지가 제품과 독립하여 그 표지의 형태만으로는 식별력이 없다 하더라도 특정한 위치적 사용을 통해 식별력을 얻거나 특정 위치가 출처표시로서 기능하게 되는 상표를 말한다. 위치상표는 특성상 상품의 장식과 상표 사이의 경계선상에 존재하는 상표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형의 왼쪽 귓볼에 달려있는 라벨, 구두 뒷굽 바닥의 빨간색 선, 운동화 양쪽 측면의 굵은 선 등은 인형, 구두, 운동화 표면 어느 일정한 지점에 상표가 위치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이 경우에 따라서는 단순히 상품의 장식적인 요소로 느낄 수 도 있다. 이러한 특성이 있는 위치상표를 출원하기 위해서 출원인들은 지정상품과 관련하여 어느 특정 지점에 상표가 위치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일반적인 지정 상품의 형태로 묘사한 그림에 해당 위치를 표시하여 위치상표의 상표 견본을 제출하게 된다. 구두 뒷굽 바닥에 하나의 빨간 선을 위치시키는 상표의 경우 상표견본을 제출할 때 구두마다 뒷굽 바닥의 모양이 다르므로 출원자가 상표를 표시하고 싶은 모든 시리즈의 구두 뒷굽 바닥에 선을 삽입한 상표견본을 제출하는 것은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유럽연합, 독일에서는 이미 1990년대부터 상품의 특정 위치에 표시된 표지가 표지 자체만으로는 식별력을 가질 수 없는 일반적인 표지일지라도 지정 상품의 특정 위치에 표시되면서 해당 표지의 위치로 인해 식별력이 발생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있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위치상표가 이번 대법원 판결로 인해 상표로서 인정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고 이로 인해 상표출원과 등록, 심사 실무에도 위치상표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그 중 위치상표의 식별력을 인정하는 기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기 때문에 위치상표의 식별력에 관한 여러 사례를 살펴본다.

    영어초록

    Last year, for the first time, Supreme Court of Korea has judged a case on a position mark. In the case, the court concluded that a position mark could be included in a trade mark category provided in Trademark Law. The position mark was defined by the court as a trade mark required 3 conditions. First, a sign, a letter, a figure or any combination of these could be detached from the shape of the designated goods. Second, these have to be attached(placed) on a special position of the designated goods. Third, they could distinguish the origin of the goods by placing them on that position. This definition by the court is similar to foreign cases on position mark. A position mark is defined by German Trade Mark and Patent Office as a sign which is placed on a definite part of a product at the same position in constantly identical shape and size.
    A position mark must meet the requirement of distinctiveness to be registered as a trademark. In EU, specially a german case, a court stated that a level of consumer’s attention purchasing the goods should be considered as to the judgement about distinctiveness of a position mark. When a consumer purchases a product with high attention, the sign or figure placed on the product has easily distinctiveness. On the contrary, if people purchase a product(ex; socks etc.) with low attention, the sign or figure placed on the product is hardly recognized as trademark because they are used in a decorative way. Therefore, the consumer doesn’t consider it as indication of source.
    According to the General Court and Boards of Appeal of OHIM, a type of goods has relation to the distinctiveness of position mark but it was not apparently stated in Korea position mark case that relation between a type of goods and the distinctiveness of position mark should be considered to determine the distinctiveness.
    While it is obligatory for an applicant to file a description to define a concrete position by the description in Germany or EU, it is not obligatory in Korea. Supreme Court of Korea has stated that it is no problem to acknowledge a position mark without a disclaimer or an obligation to file a description of position mark and ruled that if an applicant’s intention is clearly expressed by dotted lines through the specimen of position mark to exclude the dotted lines, the dotted lines are not the subject matter of trademark exami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려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