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칸트 『판단력 비판』에 나타난 취미 판단의 문제 (The Problem of Kant's Critique of Taste in 『Critique of Judgment』)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9.03
16P 미리보기
칸트 『판단력 비판』에 나타난 취미 판단의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유럽문화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유럽문화예술학논집 / 10권 / 1호 / 101 ~ 116페이지
    · 저자명 : 손청문

    초록

    칸트 미학의 과제는 감정의 미학 즉 쾌, 불쾌의 감정 문제부터 초감성적인 것의 감성적 형식으로서의 미 형식의 목적론적 해명에 이르는 폭 넓은 영역에 가로 놓여 있다. 특히 『판단력 비판』에서다루어지는 취미 판단의 보편성 문제, 취미 판단이 어떻게 주관적이면서 보편적인 공감을 얻을 수있는지는 그의 선험 미학적 과제로 등장한다. 그는 우리의 미적 판단 즉 취미 판단이 단순히 ‘나에게만 아름다운 것’이 아니라는 사태를 무엇을 근거로 하여 알 수 있는가 이를테면 미적 주관성이 어떻게 동시에 미적 보편성과 함께 이야기 될 수 있는가를 증명하고자 한다. 나아가 칸트는 그리 간단한논증은 아니지만 취미 판단이 개념 자체를 무제한적으로 혹은 미감적으로 확장시켜 예지적 이념의능력(이성)을 움직이도록 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취미의 주관적 원리 즉 우리 안에 있는 초감성적인 것의 비규정적인 이념이 취미능력의 비의(秘義)를 풀 수 있는 열쇠라고 해명한다. 이에 취미 판단에 있어 상상력과 오성의 합목적적 조화를 주관의 모든 능력의 초감성적 기체(基體)라 부르며 이와관련하여 우리의 모든 인식능력을 조화시키는 것이 바로 우리 본성의 예지적인 것에 의해 부여된최종의 목적이라고 천명한다. 칸트의 체계적, 사변적 맥락에서 고찰되는 미학적 결말은 ‘미가 도덕적선의 상징’이라는 주장에서 정점에 이른다. 본 논문에서는 『판단력 비판』에 나타난 취미 판단의 특성과 연역, 변증론을 검토하면서 취미 판단의 보편타당한 원리규명과 그 최종근거로서의 초감성적기체의 설정 그리고 미적 상징성의 내력을 추적함으로써 근대 관념론 미학의 정초자로서 칸트 미학이 갖는 의의를 음미하는데 의미를 두고자 한다.

    영어초록

    Kant began with the intention to achieve the perfection of his philosophical system, not the direct interest in beauty and art, in the realization of aesthetic theory. Therefore, his aesthetic theory is influenced by his basic philosophical ideas. The significance of the Kantian aesthetic theory can be found by looking at the position of 『Critique of Judgment』 in critique philosophy that is his whole philosophical system.
    In 『Critique of Judgment』, Kant attempts to complete his philosophical system by establishing continuity or consonance with the natural world and the moral world. The central point here is judgment, and the only principle of aesthetic judgment lies in the purposiveness ideology of nature and art. According to Kant, aesthetic judgment "includes the principle that judgment is based purely on the basis of his reflection on nature, that is, the principle of formal purposiveness that has regarding our cognitive abilities in accordance with his unique(empirical) laws. Thus, aesthetic judgment mediates between the domain of nature and the domain of freedom through the concept of nature's purposiveness, which enables the transition from the world of lawfulness by the concept of nature to the world of ultimate purpose by the concept of freedom.
    For Kant, this is the subjective interpretation of beauty by defining “beauty as not an object, and critique of taste as not a cognitive judgment", and that "if there is no relation to subjective emotions, beauty itself is nothing". Thus, the beauty of any object is now being imposed on the object as a result of being subject to a person's aesthetic consciousness. That is, objects are not displayed as beauty itself, but they are beautiful as long as they are so judged by the human deliberative abilities following natural principles. And Kant's Copernican revolution, namely the conversion from objective interpretation to subjective interpretation of beauty, is one of the greatest features of modern aesthetics. Through Kant's analysis of beauty that is critique of taste, we meet the principle of aesthetic autonomy. He establishes the principle of aesthetic autonomy by distinguishing aesthetic judgment from sensuous judgment and judgment of good. And this principle is based on human sociality and morality, and it is aiming for ideal human community through beau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럽문화예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