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내 도시 물 시스템의 온실가스 배출량 분석: 파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Greenhouse Gas Emissions of an Urban Water System in Korea: A case study of Paju city)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8 최종저작일 2023.08
14P 미리보기
국내 도시 물 시스템의 온실가스 배출량 분석: 파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환경공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환경공학회지 / 45권 / 8호 / 357 ~ 370페이지
    · 저자명 : 홍이슬, 박주영

    초록

    목적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도시 중 파주시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도시 물 시스템의 전 생애주기를 고려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추정함으로써 국내 물 부문 탄소중립 전략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 분석대상에는 지방상수도 및 광역상수도 시설 (취수장, 정수장, 가압장 및 상수관로), 공공하수도 (하수관로, 펌프장 및 공공하수처리시설), 공공폐수처리시설, 개인하수처리시설, 물 재이용 시설(빗물이용시설, 중수도, 하・폐수처리수 재이용시설)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에는 공공하・폐수처리시설 및 개인하수처리시설 운영 단계에서 발생하는 CH4 및 N2O의 scope 1, 물 인프라 운영 시 전력 사용에 따른 scope 2, 그리고 인프라 건설・유지관리 단계의 상・하수도관 제조 및 운영 단계에서 사용되는 수처리 약품 제조 관련 scope 3 배출원이고려되었다. Scope 1 배출량은 국내 산정지침과 2019 IPCC 가이드라인을 활용하여 추정 후 각 산정지침에 따른 추정치를 비교하였으며, scope 2 및 scope 3에 대해서는 전과정평가를 통해 배출량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18년이며, 국가통계, 현장 인터뷰 및 문헌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을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결과 및 토의 : 2018년 파주시 물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총 197.4천 톤 CO2eq으로 분석되었다. 이 중 scope 2 배출량이 66.3%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특히, 고품질의 공업용수를 생산하는 하・폐수처리수 재이용시설을 포함한 물 재이용 부문이 scope 2 배출량의 41.0%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scope 1 배출량이 25.5%로 높게 나타났으며, scope 3 배출량이 8.2%로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scope 1 배출량의 경우, 산정지침별 상이한 배출량 산정식 및 배출계수로 인해 추정결과 간에 2.9~6.5배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파주시 물 부문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scope 2 배출량의 저감을 위한 에너지 효율 제고 및 하・폐수 기원의 scope 1 배출에 대한 저감 방안이 요구된다. 그러나 신뢰도 높은 배출량의 추정을 위해서는 국내 현장을 반영한 scope 1 배출계수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물 부문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더욱 포괄적인 이해를 위해 플랜트 및 장비, 최종 물 소비 등과 관련하여 국내 여건이 반영된 실증 데이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Objectives : This study assessed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GHG) in the urban water system from a life cycle perspective in the city of Paju. It serves as a case study to provide a quantitative basis for the net-zero water management.
    Methods : The scope of the study included the centralized local water supply and inter-basin water import system (water abstraction facilities, water treatment plants, pump stations, and water pipelines), wastewater system (wastewater pipelines, pump stations,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s, public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on-site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and circular water use (rainwater harvesting, greywater reuse, and wastewater recycling). This study considered scope 1 emissions, specifically CH4 and N2O emissions generated from wastewater treatment plants, scope 2 emissions from the electricity use during the operation of water infrastructure, and scope 3 emissions associated with the production of water and wastewater pipelines and chemicals. Scope 1 emissions were quantified using both the national guidelines and the 2019 IPCC guideline, and the estimates based on the two methods were compared. Scope 2 and scope 3 emissions were evaluated using life cycle assessment. To quantify GHG emissions for the year 2018, data were collected or estimated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public statistics, field interviews, and the literature.
    Results and Discussion : In 2018, the total GHG emissions from Paju’s water system were 197.4 thousand tons of CO2 eq. Among these emissions, the scope 2 emissions accounted for the largest share, comprising 66.3% of the total. Notably, circular water use, which included wastewater recycling for high-quality industrial uses, accounted for 41.0% of the scope 2 emissions. Scope 1 emissions accounted for 25.5% and scope 3 emissions accounted for 8.2% of the total emissions. However, in the case of scope 1 emissions, the estimates varied significantly by 2.9 to 6.5 times, depending on the calculation methods and emission factors provided by two different guidelines.
    Conclusion :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in the water sector of the city of Paju, two approaches are required: enhancing energy efficiency to reduce scope 2 emissions and implementing measures to reduce scope 1 emissions. However, to obtain accurate and reliable estimates of the GHG emissions, it is crucial to develop applicable scope 1 emission factors based on field data. Furthermore, to ga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GHG emissions in the water sector,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analyze embodied GHG emissions in water infrastructure and GHG emissions associated with the end use of wa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