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UAV 다중분광 영상 기반 딥러닝 토석채취지 분류를 위한 최적 데이터세트 구성 및 평가 (Dataset Construction and Evaluation for Deep Learning-based Quarry Classification Using UAV Multispectral Images)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4.12
17P 미리보기
UAV 다중분광 영상 기반 딥러닝 토석채취지 분류를 위한 최적 데이터세트 구성 및 평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리정보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27권 / 4호 / 160 ~ 176페이지
    · 저자명 : 박동환, 심우담

    초록

    본 연구는 토석채취지 모니터링의 자동화 및 효율화를 위한 딥러닝 기반 분류 모델의 최적 데이터세트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경상북도 구미시에 소재한 면적 약 8.5ha 규모의 토석채취 사업장으로, DJI M3M 무인항공기를 활용하여 RGB 및 멀티스펙트럴 영상을 취득하였다. 취득된 영상을 기반으로 분광정보 구성, 방사해상도를 고려하여 네 가지 데이터세트를 구성하였다. 토석채취지의 분류 모델로는 고해상도 특징 유지에 강점이 있는 HRNetV2를 선정하였으며, MS-SSIM, Focal Loss, Dice Loss를 결합한 Hybrid Loss를 활용하여 모델을 학습하였다. 연구 결과, Dataset C가 전체 정확도 92.8%, Kappa 계수 0.875로 가장 균형 잡힌 분류 성능을 보였다. 특히 다른 데이터세트에서 낮은 정확도를 보인 초지(81.0%)와 습지(87.4%) 분류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반면, DSM과 Slope 정보를 추가한 Dataset D는 과적합 문제가 발생하여 모델의 일반화 능력이 저하되었다. 주요 오분류는 급격한 지형변화 지역의 산림지↔초지 간 혼동과 토지피복 경계부의 초지→나지 오분류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분광정보 구성, 방사해상도에 따른 차이, 지형정보의 추가활용 등 데이터세트 구성에 따른 토석채취지 분류 정확도 향상 여부를 검토하였으며, 이러한 최적 데이터세트 구성에 대한 연구결과는 향후 토석채취지 자동 분류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optimal dataset for a deep learning-based classification model to automate and enhance the efficiency of quarry monitoring. The study site was a quarry with an area of approximately 8.5ha, located in Gumi, Gyeongsangbuk-do, where RGB and multispectral images were acquired using a DJI M3M drone. Four dataset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acquired images, considering spectral information composition and radiometric resolution. HRNetV2, which excels in maintaining high-resolution features, was selected as the classification model for the quarry, and the model was trained using a Hybrid Loss combining MS-SSIM, Focal Loss, and Dice Loss. The results showed that Dataset C demonstrated the most balanced classification performance with an overall accuracy of 92.8% and a Kappa coefficient of 0.875. Notably, it showed excellent performance in classifying grassland (81.0%) and wetland (87.4%), which had lower accuracy in other datasets. In contrast, Dataset D, which included DSM and Slope information, experienced overfitting problems, resulting in reduced model generalization capability. The main misclassifications occurred in the confusion between forest and grassland in areas with steep terrain changes, and grassland being misclassified as bare land in land cover boundary areas. This study examined the improvement in quarry classification accuracy according to dataset composition, including differences in spectral information configuration, radiometric resolution, and the additional use of topographic information. These findings on optimal dataset configuration are expected to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automated quarry classification syste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지리정보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