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흥사 경판의 조성 배경과 사상 - 大顚和尙注心經·諸眞言集·佛說廣本大歲經·僧家日用食時默言作法·大圓集 등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Ideological Background which led to the Creation of the Printing Woodblocks of Buddhist Sutras in Shinheungsa Temple)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5.12
35P 미리보기
신흥사 경판의 조성 배경과 사상 - 大顚和尙注心經·諸眞言集·佛說廣本大歲經·僧家日用食時默言作法·大圓集 등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45호 / 107 ~ 141페이지
    · 저자명 : 유근자

    초록

    강원도 속초 신흥사의 보제루(普濟樓)에 소장된 경판은 목판본으로 25종류인데, 현재 269매가 남아 있다. 그 가운데 본 연구는 반야심경의 주석서인 『대전화상주심경(大顚和尙注心經)』(1666년), 밀교계 의식집인 『제진언집(諸眞言集)』(1658년), 불교와 민간신앙 습합되어 형성된 『불설광본대세경(佛說廣本大歲經)』 합본(1670년), 승려들의 일상 생활의식집인 『승가일용식시묵언작법(僧家日用食時默言作法)』(1666년)과 『제반문(諸般文)』(1670년), 대원무외(大圓無外, 1714~1791) 선사의 문집인 『대원집(大圓集)』등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신흥사의 소장 목판본이 갖는 중요성은 크게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신흥사 경판은 조선후기 인쇄술을 보여주는 자료임과 동시에, 당대 사찰의 경전 간행 사실과 당시 승려들의 생활상을 알려준다는 점에서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둘째, 신흥사 경판은 표기 방식이 한자본, 한글·한자 병기본, 한글·한자·범어(梵語) 병기본으로 되어 있어, 조선시대 국어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대전화상의 반야심경 주석서인 『대전화상주심경』을 통해 당대 선(禪) 수행을 고찰할 수 있다는 점이다.
    넷째, 『승가일용식시묵언작법』과 『제반문』은 당시 승려들의 일상 생활을 규명할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다섯째, 18세기 신흥사에서 일파를 형성했던 대원무외 선사의 문집인 『대원집』은 당시 승려와 유학자들의 교류 관계를 살펴보는데 귀중한 자료적 가치를 갖고 있다.
    신흥사 경판은 조선후기 사찰의 신앙 형태를 잘 보여주는데 가장 특징적인 것은, 밀교 진언집 계통의 『제진언집』과, 불교와 민속이 결합한 『불설광본대세경』 합본이 잘 보존되어 오고 있다는 점이다. 이 두 경전은 조선후기 불교 신앙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기 때문에, 향후 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In Shinheungsa temple, located in Sokcho-si of Korea, there are 269 printing plates of the Buddhist scriptures (Sutras) carved on the wooden blocks, organized as in 25 titles, which were produced in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center of the relief surface, a column of characters indicating the title and the fascicle number of the sutra suggests that a print from this plate must have been folded in half and published as a book format but not scroll format.
    In this study, among the engraved scriptures, the Daejeonhwasang Jusimgyeong (Daejeonhwasang’s Annotations on the Heart Sutra, 大顚和尙注心經, 1666), the Collection of Mantras(諸眞言集, 1658), Buseolgwangbondaesegyeng(佛說廣本大歲經, 1670), Seunggailyong- siksimuckeonjakbeop(僧家日用食時默言作法, 1666), the Outline of Buddhist Rituals(諸般文, 1670), and Daewonjip(a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of monk-scholar Daewon, 大圓集, 1801) were scrutinized closely.
    The wooden printing blocks of Buddhist scriptures created in the Shinheungsa temple provide us considerably important information as follow: It could be estimated the advancement of printing technologies during the 17th to 18th centuries.
    Three character sets were used in engraving the Shinheungsa version of woodblock-sutras with different formats such as Chinese-character only format, Chinese-Korean mixed format, and Chinese-Korean-Sanskrit format. They could be used as a valuable resource of ancient Korean characters.
    Through the Daejeonhwasang Jusimgyeong, Annotations on the Heart Sutra(般若心經註釋書) by monk-scholar Daejeonhwasang,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life of monks taking religious practice with Seon(禪) in those days.
    The Seunggailyongsiksimuckeonjakbeop describing the ritualistic practice of Alms-bowl Meal (Bahru offering) and the Outline of Buddhist Rituals show the aspects of daily life of monks in the monastery.
    Presumably, there were active interactions between monk-scholars and Confucian scholars, because it is known that the Daewonjip, a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written by monk Daewon-Muwoe(大圓無外, 1714~1791) who was a leader of monk-scholars in Shinheungsa temple, had been widely read even in Confucian scholar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