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간생략등기형 명의신탁에서 신탁부동산의 임의 처분 시 횡령죄 성립 여부 (Whether Embezzlement Is Established by Discretionary Disposal of Trust Estate Subject to Title Trust by Simplified Registration)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6.09
52P 미리보기
중간생략등기형 명의신탁에서 신탁부동산의 임의 처분 시 횡령죄 성립 여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법발전재단
    · 수록지 정보 : 사법 / 1권 / 37호 / 425 ~ 476페이지
    · 저자명 : 김희수

    초록

    종래 대법원은 다수의 판결들을 통해 부동산실명법에 위반한 중간생략등기형 명의신탁 사안에서 수탁자의 신탁부동산 임의 처분행위가 신탁자에 대한 관계에서 횡령죄를 구성한다고 일관되게 판단하여 왔다. 하지만 이러한 판례의 태도에 대해 학설상으로는 판례를 지지하는 견해, 신탁자가 아닌 매도인에 대한 횡령죄가 성립한다는 견해, 횡령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견해 등 여러 견해들이 대립하여 왔다.
    대상판결은 ① 부동산실명법에 위반한 중간생략등기형 명의신탁의 경우 신탁부동산의 소유권은 여전히 매도인에게 있을 뿐 신탁자에게는 소유권이 없고, ② 부동산실명법의 입법 목적과 규율 내용 등에 비추어 보면, 신탁자와 수탁자 사이에 계약이나 신의칙 등에 기한 위탁관계를 인정할 수 없고, 설령 존재한다고 주장될 수 있는 사실상의 위탁관계라는 것 역시 형사 불법에 기초한 형법상 보호할 만한 가치 있는 신임에 의한 것이라고 할 수도 없으므로, 결국 신탁자에 대한 관계에서 수탁자를 ‘타인의 재물을 보관하는 자’라고 할 수 없다고 판단함으로써 신탁자에 대한 횡령죄 성립을 긍정해 온 종전 판결들을 모두 폐기하였다. 또한 대상판결은 수탁자에 대한 형사처벌의 필요성을 강조한 채 신탁자에 대한 횡령죄 성립을 긍정해 온 견해는 죄형법정주의에도 반하며, 부동산실명법의 입법 목적 등에도 배치되어 받아들이기 어렵고, 나아가 판례 법리상 형사적 제재를 가하고 있지 아니한 악의의 계약명의신탁 사안과의 비교 측면에서도 타당하지 못하다고 판시하였다.
    대상판결의 이러한 판단은 횡령죄의 구성요건 해당성(타인 재물성, 위탁관계) 인정 관련 기존 판례 법리 및 부동산실명법에 위반한 명의신탁을 둘러싼 당사자들의 법률관계에 대한 해석론에 근거한 것으로 타당하며, 횡령죄의 본질 및 보호법익에도 부합하는 정당한 것이다. 게다가 횡령죄 성립 여부와 관련해 부동산실명법의 입법 목적과 규율 내용 등을 고려해 위 법률이 실질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적극적인 해석론을 전개한 점에서 대상판결의 중요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대상판결 중 횡령죄의 위탁관계와 관련한 설시 부분은 향후 부동산실명법에 위반한 양자간 등기명의신탁 사안에서 신탁부동산을 임의 처분한 수탁자의 죄책에 대한 논의에도 일정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영어초록

    Thus far, the Supreme Court has consistently held in a number of decisions that, in the context of title trust by simplified registration in violation of the Act on the Registration of Real Estate under Actual Titleholder’s Name (hereinafter the “Real Estate Actual Titleholderʼs Name Act”), it constitutes embezzlement as against the transferor for the transferee to dispose of the trust estate at his/her own discretion. However, there has been dispute over such precedential attitude between: (a) those theoretically in support of the precedent; (b) those affirming the establishment of embezzlement as against the seller, but not against the transferor; and (c) those denying any establishment of embezzlement at all.
    The subject case overruled all previous precedents affirming the establishment of embezzlement as against the transferor, by determining as follows: (a) in the context of title trust by simplified registration in violation of the Real Estate Actual Titleholder’s Name Act, the ownership of trust estate still accrues to the seller, not the transferor; and (b)(i) in light of the legislative purpose and regulatory content of the Real Estate Actual Titleholder’s Name Act, no fiduciary relationship, either contractual or good faith, can be found between the transferor and the transferee; (ii) even the so-called de facto fiduciary relationship, which might possibly be alleged, cannot be said to be based on any confidence worthy of protection against criminal wrongdoing under the Criminal Act; and thus, (iii) the transferee may not be deemed a “person administering another’s property” in relation to the transferor. The subject case also held that: (a) it is difficult to accept the existing position affirming the establishment of embezzlement as against the transferor, while emphasizing the need to criminally punish the transferee, for it is contrary to the principle of no crime and punishment without the law and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Real Estate Actual Titleholder’s Name Act; and moreover, (b) it is unreasonable also from a comparative case law perspective, given that no criminal sanction is imposed on bad faith contractual title trust.
    Such determination of the subject case: (a) is reasonable as it is based on the existing precedential legal doctrine on whether to find a given act to constitute the elements of the offense of embezzlement (i.e., another's property, fiduciary relationship) and the interpretive theory on the legal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es surrounding title trust in violation of the Real Estate Actual Titleholder's Name Act; and (b) is justifiable as it is conducive to the essence of the offense of embezzlement and its legally protected interest. Major significance of the subject case is that it advances an affirmative interpretive theory on whether embezzlement is established in such a way as to enable the Real Estate Actual Titleholder's Name Act to substantively function, in view of its legislative purpose and regulatory content. To a certain extent, the part of the subject case where the Court explains the fiduciary relationship in the context of embezzlement is anticipated to have implications on future discussions on the guilt of a transferee who, at his/her own discretion, disposes of trust estate subject to bilateral registered title trust in violation of the Real Estate Actual Titleholder's Name Act.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