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등학생들의 역사학습에 나타난 도덕성 양상 (A Morality in a History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7.02
26P 미리보기
초등학생들의 역사학습에 나타난 도덕성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과교육연구 / 24권 / 1호 / 45 ~ 70페이지
    · 저자명 : 류현종

    초록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2015년 12월 9일과 12월 22일에 걸쳐 제주시 소재 I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과 함께 실행했던 <제주 삼별초 이야기> 수업 후의 학습 결과물과 학습 소감문을 Jonathan Haidt의 도덕성 기반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초등학생들의 역사학습에 나타난 도덕성을 살펴보았다. 초등학생들이 역사를 이해하는데 바탕을 둔 도덕성 기반은 주로 ‘권위/전복’, ‘충성심/배반’, ‘배려/피해’이었고, 이에 비해 ‘공정성/부정’, ‘고귀함/추함’, ‘자유/압제’ 기반은 소수로 나타났다. 초등학생들은 ‘권위’, ‘집단’, ‘관계’ 지향적인 판단을 했다고 할 수 있는데, 집단 중심의 사회 분위기, 1인칭 복수로 지칭된 역사적 행위 주체와의 대면, 행위를 배경과 조건 속에서 궁리하지 않는 경험 등이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연구자가 수업에서 도덕적 판단과 평가를 요구하지 않았으나 초등학생들은 역사를 이해하면서 도덕적 판단을 드러냈다. 많은 학생들이 다중의 도덕적 판단을 보였는데, 다중의 도덕적 판단을 한 학생들이 단일한 도덕적 판단을 한 학생보다 역사 이해의 부분을 더 많이 드러냈다.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소수의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연구자의 수업 후 산출된 학생들의 학습 결과물과 학습 소감문을 분석하였기 때문에 초등학생들의 일반적인 도덕적 양상을 드러내지 못했고, 도덕성 양상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들도 심도 있게 파악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초등학생들의 역사 이해 속에 나타난 도덕성을 파악할 수 있는 단초를 주어 초등학생들의 역사 이해와 도덕적 성찰의 관계를 고민하는 출발점을 제공했다는데 의의를 두고 싶다. 추후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초등학생들의 역사 이해와 도덕적 성찰에 관한 경험적 자료들이 축적되기를 기대해 본다.

    영어초록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a morality in a history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Jonathan Haidt’s Moral Foundations Theory. In the historical understanding of students, responses related to three moral foundations, Authority, Loyalty, and Care were revealed frequently. Meanwhile, they expressed concerns rarely in line with Fairness, Sanctity, and Liberty. The results supported that the students did judgements oriented toward ‘authority’, ‘group’, and ’relationship.’ They might be influenced by a group-focusing social climate, an encounter with historical agencies referred as first-person plural pronounces, and a lack of experience in coming up with historical behaviors on the backgrounds and conditions. An another noteworthy finding of the present study was that although this researcher didn’t ask them for doing a moral judgement and moral evaluation in the lesson, the students showed a moral judgements while understanding about a history. A plural moral judgement was shown more than were the counterparts, none-moral judgement and a singular moral judgement. Parts of historical understanding were expressed more in cases of a plural moral judgement than were in cases of a singular moral judgement. As only the learning products and learning reviews were analysed, which were yielded by a small number of participants after the lesson, a general modes in mor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uld not be explored and various factors influencing them(life history, region, class, gender, and religion etc.) also were not able to be clarified. Even so,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give a significance in providing a starting point of considering relationships between a historical understanding and a moral reflection by offering a cue of identifying a morality in a historical understanding. Further systematic studies which can contribute to the accumulation of empirical data are anticipated to be produc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