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말 지식인들의 ‘애국론’과 민족주의 (Korean Intellectuals’ Concepts of Patriotism and Nationalism in the Early 20th Century)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5.12
40P 미리보기
한말 지식인들의 ‘애국론’과 민족주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 수록지 정보 : 개념과 소통 / 16호 / 197 ~ 236페이지
    · 저자명 : 김소영

    초록

    1906년 이후 통감부를 비롯한 친일 세력은 일본 통치에 대한 의병의 반일투쟁을무력으로 진압하는 한편, 언론과 교육을 통한 반일의식 및 ‘애국심’ 형성을 통제하고 막으려 했다. 이를 위해 언론·출판의 자유를 통제하는 일련의 법령을 반포했는데, 특히 .교과용 도서 검정규정.에 의한 교과서 검열의 목적은 학생들에게 ‘애국심’을 형성하고 고취할 만한 내용을 통제하는 데 있었다. 그런데 통감부와 친일 세력이 이와 같은 교과서 검정에 대한 반발과 비난에 대응하기 위해 내세운 논리 역시 ‘애국’이었다. 교과서에서 기술한 국가사상이나 정치행위와 관련된 ‘애국’은 ‘진정한 애국’이 아니며, 부국강병과 문명개화를 실현하기 위한 ‘근면함’을 갖추는 것이 ‘진정한 애국’이라고 주장했다. 부국강병과 문명개화를 애국의실현 방법으로 상정한 것은 반일적 지식인들 역시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부국강병과 문명개화를 최상위의 목표가 아닌 대한제국민에 의한 근대국가 수립을 위한 수단으로 인식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은 애국을 둘러싼 논쟁과 대립은 보수와 개혁을 둘러싼 갈등, ‘제2차 단발령’에서도 분출되었다. 단발령과 관련된 갈등은 보수와 개혁이라는 입장 차이에만 기인한 것이 아니라 역시 ‘반일’과 ‘친일’이라는 정치적 입장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단발’이나 ‘보발’, 어느 쪽을 주장하더라도 자신의 신념과 정치적 행위를 애국으로 정당화하고자 했다. 하지만 단발을 문명개화를 실현하는 애국으로 옹호하고 찬성하는 세력은 다시 ‘반일적’ 단발론자와 ‘친일적’ 단발론자로 나뉘었다.
    전자가 한국민이 주체가 되는 문명개화와 ‘국권’ 회복, 국민국가 수립을 궁극적목표로 삼았던 반면, 후자의 경우 문명개화를 실현하는 주체로 일본제국을 상정했다.
    이처럼 애국을 둘러싼 갈등과 대립은 애국에 대한 개념 정의 또는 인식론적 차원이 아니라 정치적 행위, 정치권력 획득과 관련된 것이었다. 당시 지식인들 역시 애국과 애국심을 정치적인 것으로 파악하고 그 기원과 정의, 형성 방법을 논의한 경우가 적지 않았다. 즉 지식인들은 ‘국민’이 국가를 사랑하게 되는 계기는국가가 자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존재한다는 확신에서 비롯된다고 보았다. 따라서 정부가 ‘국민’의 권리를 보호하고 사랑하는 입헌국에서만 ‘애국심’, 정치적 애국심이 형성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일본의 ‘보호국’이라는 현실에서 입헌과 국민의 정치 참여 가능성은 희박해져 갔다. 또한 정치 참여를 통한 애국심 형성 역시 불가능한 것이었다. 따라서많은 지식인이 정치적 애국심보다 자연적 애국심론을 주장했다. 자연적 애국심론은 자신이 태어난 곳, 국토에 대한 애정의 확장으로서 애국심 또는 국가를 일가족이나 일가의 집합체로서 보아 자기 가족과 집안에 대한 애정이 확대되어 애국심을 형성한다는 주장이었다. 자연적 애국심론은 가족의 확대체인 국가에 국가 구성원이 무조건적이고 절대적인 충성을 바치고 복종해야 한다는 논리인가족국가론과 다시 결합되었다. 하지만 대한제국이라는 정치공동체의 내외 주권을 일본이 장악해 가고 있는 상황에서 충성과 복종의 대상인 ‘국’의 실체가 불분명해져 갔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정치체인 국가가 아닌 또 다른 형태의 혈연공동체인 ‘민족’이 등장하고, 그에 대한 충성과 복종을 강조하는 민족주의가 ‘애국’ 을 대신하여 또는 애국과 결합하여 이후 국권 회복과 독립운동을 추동하게 되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the Resident-General and the pro-Japanese cabinet used military force to suppress anti-Japanese resistance, but there was also a determined effort, beginning around 1906, to try to control and prevent the formation of anti-Japanese sentiments, through the press and the educational system. A series of ordinances was promulgated to control the freedom of the press, and textbooks were censored to remove any content which might inspire patriotic resistance in students.
    But, in response to criticism of these measures, the office of the Resident-General and other pro-Japanese voices also presented an argument to justify the censorship of textbooks. They insisted that the patriotism promoted by textbooks which described nationalist ideas and political actions was not “real patriotism”, and that the true character of “real patriotism” was a diligent struggle to achieve prosperity, military power and enlightenment.
    This was a shrewd strategy, since anti-Japanese intellectuals also regarded prosperity, military power and enlightenment as essential for realizing patriotism, but instead of seeing these as an ultimate end in themselves, they saw them as merely the means of establishing a modern state.
    A typical instance of such a confrontation over the nature of patriotism was the controversy prompted by the second ordinance prohibiting topknots (the traditional Korean sangtu). This reflected a difference in position between conservatives and reformists, but also between pro- and anti-Japanese opinion. All sides of the debate, whether they supported cutting off topknots or preserving topknots, tried to justify their principles and their political actions in patriotic terms.
    Thus, the controversy and conflict about the nature of patriotism was far more than simply a matter of definition, instead being closely connected with political activity and the acquisition of power. Indeed, many contemporary intellectuals thought of patriotism as political in character, and discussed its origins, its meaning, and how it could be inspired; coming to the conclusion that only when a country could protect its people’s rights and freedoms with laws would they love their country and be willing to fight for it. They therefore insisted that patriotism, understood as political patriotism, could only arise in a constitutional state, i.e. one which protects its people’s rights and freedoms.
    During the Japanese protectorate, however, any prospects for a constitutional state and popular political participation were remote, and the inspiration of patriotism through such political participation was therefore impossible. Consequently, many intellectuals advocated so-called “natural patriotism” instead of political patriotism. Natural patriotism was combined with the theory of a family-state, in which the state is seen as the extension of the family, and as such deserves the obedience and the unconditional loyalty of its members. Also, the very substance of the state became ambiguous, as Japan absorbed the sovereignty of the Daehan empire. In these circumstances, ‘Minjok (民族)’, representing an ethnic community, replaced ‘Kuk (國)’, representing a state, and subsequent independence movements were driven by nationalism substituting for or combined with patriot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개념과 소통”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