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학과 A+ 졸업논문 '식민지근대화론에 대한 비판'
아이리니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사학과 A+ 졸업논문 '식민지근대화론에 대한 비판'"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1. 머리말2. 내재적 발전론
3. 식민지 근대화론의 대두
4. 식민지 근대화론의 비판
1) 토지조사사업
2) 일제산미증식 정책
3) 한국민족말살 정책
5. 맺음말
본문내용
1. 머리말식민지 시대를 바라보는 관점은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난다. 첫째는 내제적발전론이요, 둘째는 식민지근대화론이다. 이 두 관점 중에서 어느 것을 해석의 기준으로 식민지시대를 바라볼 것이냐에 따라 식민지 시대에 대한 평가는 상반되게 나타난다. 식민지를 경험해 보지 못한 세대들에게 이시대의 관점에 대한 연구는 주체성의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식민지근대화론을 비판하여 식민지를 경험해보지 못한 세대들의 식민사관을 극복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서술되었음을 밝혀 둔다.
식민지시대를 바라보는 연구의 학계동향은 초기에는 내재적발전론이 주류의 인식론이었다. 그러나 시대가 흐르면서 이러한 관점에 수정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른바 ‘식민지근대화’라는 식민지 시대를 ‘수탈과 발전’이라는 관점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주장이다. 이는 한국의 20세기 눈부신 발전의 기조(基調)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되었고, ‘식민지근대화론’으로 불리는 연구들이 1980년대부터 외국학자들에 의해 조심스럽게 등장하던 것이 1990년에 국내학자들 가운데 일부가 이에 입각한 연구 결과를 제기하면서 새삼스레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식민지근대화론이 주장하는 소위 ‘개발론’은 일제 시대 조선총독부와 일제의 식민지 관료들이 1910~1945년에 끊임없이 주장하던 이야기들이며, 그들이 한국 민족과 사회를 ‘정체성(停滯性)’이 지배하는 민족으로 만들고, 일본이 한국을 ‘근대화’ ‘개발’시켜준 나라로 ‘한국의 자주독립’ 의지를 꺾으려는 의도에서 시작된 주장이다. 이와 같은 주장의 시작은 일본의 식민주의 사관에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역사의 타율성론을 펼치고 있다. 그중 일본의 제국대학 사학과 출신의 임태보가 주장한 이른바 ‘임나일본부설’등은 일본인 학자들이 중심이 되어 국책으로서의 일본사체계 수립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협력하고 한국 침략을 정당화하며 옹호하기위한 한국 역사에 대한 식민주의 사관을 정립하게 되었다.
참고 자료
신용하,『일제 식민지 정책과 식민지 근대화론 비판』, 문학과 지성사, 2006.김동택,「한국자본주의의 농업적 기원」, 한국정치연구회, 1997.
조석곤,「식민지근대화론과 내재적발전론 재검토」, 동향과 전망, 1998.
김상훈,「토지조사사업에 관한 두가지 인식 : 식민지근대화론과 내재적발전론에 대한 학설사적 검토」, 서강대학교육대학원, 2007.
권태억, 「근대화ㆍ동화ㆍ식민지유산」.
신용하,「일본 제국주의의 옹호론과 그 비판」,『한국 독립운동사 연구』, 제6집, 1992.
신용하,「일제하에서 저지당한 한국 근대화」,『세계체제 변동과 현대 한국』집문당, 1994.
和田一郞(화전일랑),「朝鮮土地制度地稅制度調査報告書」東京, 1920.
Shin, Young-Ha, "Kwajon Land Reform and the Establishment of Private landlordism in the Early Yi Dynsty Korea, 1391~1470", Seoul National University Economic Review Vol. 4 No. 1, 1970.
『황성신문』(제3249호) 1909년 12월 16일자 雜報(土地有無者調査).
『金昌淑文存』,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創氏嘆>.
조선총독부, 「동아의 要諦」,『초등국사』6학년용, 1941, 김흥세,『韓國史敎育史』,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오성철,『식민지 초등 교육의 형성』,교육과학사, 2000, 133, <표4-8>.
한국교육연구소편,『한국교육사(근ㆍ현대편)』풀빛,서울 1993.
정긍식,『국역 관습조사보고서』(한국법제원), <일제의 관습조사와 의의>, 1992.
양현아,『여성과 사회』10호, <한국의 호주제도>, 1999.
이영호,「1894~1910년 地稅制度 硏究」(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286, 1992.
정연태,「日帝의 韓國 農地政策(1910~1945년)」(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제2장.
안병직, 《제38회 .전국역사학대회 발표요지》,<韓國에 있어서의 經濟發展과 近代 史硏究>, 1995.
이만열(숙명여자대학교 교수),「일제 식민지근대화론 문제 검토」.
http://kin.naver.com/open100/db_detail.php?d1id=11&dir_id=110101&eid=08+QZMFI1uFR8wNBOFpUhR/1DI/dhPsz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한국사 식민지 근대화론(찬성) PPT, ppt템플릿 16페이지
식민지근대화론에 대한 비판에 관한 연구 16페이지
M. Porter 이론의 한계와 J. Barney 이론의 우수성을 중심으로 13페이지
식민사관 이론과 반론 4페이지
경북대 한국사 중간고사, 기말고사 서술형 답안 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