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가족화 정책들의 역사적 변천과정 (Process of historical Change of De-familialisation Polic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5 최종저작일 2015.08
37P 미리보기
탈가족화 정책들의 역사적 변천과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공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공공사회연구 / 5권 / 3호 / 192 ~ 228페이지
    · 저자명 : 이진숙, 박진화

    초록

    본 연구는 일-가정양립관점에서의 가족정책을 제안하기 위해 탈가족화 효과를 추구하는 가족정책의 역사를 반추해보며, 이를 통해 정책의 발달 정도를 점검해보고, 앞으로의 가족정책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탈가족화로 분류되는 가족정책을 보육서비스(국공립 및 민간보육시설 수와 영유아서비스), 부모휴가제도(육아휴직제도와 배우자출산휴가), 그리고 양육수당으로 규정하고, 그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서비스는 전반적인 보육시설 수에서는 양적인 확대를 가져왔으나, 국공립보육시설 수에서 보육의 공공성을 확대하지 못함으로써 제도 내에서의 탈가족화 성격은 크게 강화되지 못했다. 둘째, 부모휴가제도는 대상과 기간, 급여수준이 계속해서 확대됨으로써 제도 내에서 탈가족화 성격은 강화되고 있었다. 셋째, 한국의 양육수당은 보육시설을 이용하지 않는 조건으로 지불되는 것이기 때문에 가족화의 성격을 더욱 강화시켰다. 제언을 해보면 첫째, 가족정책은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위해 도입되었으며,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문제가 불거지자 국가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보육서비스는 주로 민간에 의존하여 내실없는 양적 확충의 결과만을 낳아, 향후에는 공공부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둘째, 한국에서 육아휴직급여의 도입은 선진국에 비해 지연되었으며, 급여수준 또한 낮은 편으로 좀 더 현실적으로 반영되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또한 휴가정책은 아버지를 주요 대상으로 하여 합리적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으며, 아버지 할당제 도입이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한국도 탈가족화를 위해서는 현재 보육시설을 이용하지 않는 조건의 양육수당보다는 외국의 사례와 같이 보모를 고용하여 가정 내에서 자녀를 돌볼 경우 그 비용을 지원하는 제도가 도입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we try to analyze historical changing process of family policy from a long-term perspective, and try to check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the de-familialisation policy. Based on the definition of "work-life balance", this study classifies the family policy as follows: national and public childcare facility service, private childcare facility service, parental leave, and partner maternity leave and home care allowance which are determined as de-familialisation policy.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childcare, although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overall number of childcare facilities, the shortage of publically-run childcare centers has meant a system of state-assisted childcare was unable to be implemented which also means de-familialisation was not achieved. Second, with regard to parental leave, eligibility and the period of leaves are both becoming more generous and the amount of wages paid during the leave has also increased. In this regard, de-familialisation is being reinforced. Third, since childcare allowances are only paid for children that do not use childcare centers, this acted in favor of strengthening the family unit.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First, the family policy is introduced for the strengthening of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of women. Family Policy began to respond positively at the national level due to low birth rate. However, due to being overly dependent on the private sector, child care facility services should be improved toward to strengthen public sector. Second, the introduction of parental benefit is initiated with a delay compared to the developed countries, the amount of users is still at a low leve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t carefully, the benefit for working parents should be improved upward. The wages must be raised to a reasonable level. The leave policy is also necessary to be revised rationally, and this policy must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a father quota system. Third, in order to achieve de-familialisation in Korea, current policy of paying childcare allowances only on children not using childcare centers should be changed to a system used in other countries where the allowances are paid to assist the parents who hire a baby-sitter or a nanny for care of the chi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