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무원 승진임용재량권 일탈, 남용의 심사기준과 강도-대법원 2024. 1. 4. 선고 2022두65092 판결- (The Standard of Judicial Review on the Promotion-exclusion Actions Against Civil Servants)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4.04
42P 미리보기
공무원 승진임용재량권 일탈, 남용의 심사기준과 강도-대법원 2024. 1. 4. 선고 2022두65092 판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일감법학 / 57호 / 459 ~ 500페이지
    · 저자명 : 배상준

    초록

    이 글은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징계처분(강등처분)의 위법성을 살피면서, 핵심적으로는공무원에 대한 승진임용권자의 폭넓은 재량권의 한계를 제시한 대법원 2024. 1. 4. 2022두65092 판결(이하, ‘대상판결’이라 한다)에 대한 평석을 겸하여 승진임용재량권 일탈, 남용 여부에 관한 새로운 심사기준과 강도를 모색한 글이다.
    대상판결은 승진임용에 관하여 일반 국민에 대한 행정처분이나 공무원에 대한 징계처분에서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매우 광범위한 재량이 부여되어 있다는 종전의 심사기준과 강도에 관한 일반원칙을 판시하였으나, 이에서 더 나아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재량권의 한계도 분명히 존재하며, 직업공무원제도를 정한 헌법 제7조로부터 도출되는 능력주의와 성과주의의 기속을 받는다는 점을 제시하면서, 매우 완화된 심사기준과 강도를 담은 기존 일반론이 갖는 문제점을 보완하면서 새로운 심사기준과 강도를 모색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고 있다.
    본래 능력주의와 성과주의원칙은 직업공무원제도 하에서 공무원 선발임용기준 등의 위헌성을 살펴왔던 헌법재판소 결정례들을 중심으로 헌법 제7조의 의미내용과 함께 헌법 제25조의 공무담임권, 그 외에도 평등권 침해여부를 살피는 중 일반론으로 제시되어 왔는데, 원칙적으로는 능력주의와 성과주의원칙에의 두터운 기속을 요구하면서도 다른 헌법조항의 요청등에 따라 일종의 “형량”을 거쳐가면서 일정수준으로 완화될 수도 있는 유연한 기준으로 활용되어 왔다. 공무원 승진임용에 관한 영역에까지 헌법 제25조의 공무담임권의 보호영역을넓혀가는 듯한 최근 헌법재판의 경향과 기본권 도그마틱의 발전상을 살펴보며, 그 법리를 행정법적 층위에 투영하여 대상판결에서 새로 제시한 내용들을 승진임용재량권 일탈, 남용 판단과정에서 새로운 심사기준과 강도로 정치화 해 가며, 승진임용재량권에 관한 보다 엄격하고 면밀한 사법통제방안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직업공무원제도 하에서 ‘승진’ 이 갖는 함의를 생각해본다면 더욱 그러하다.

    영어초록

    The Korean Supreme Court’s recent decision, “Supreme Court of Korea, Decision of 4 January 2024, 2022Du65092”, suggest a distinct turning point in the Supreme Court’s existing legal principles by concretizing the meaning of Art.7 of the Constitution. According to existing legal principles, it was required to apply tremendously relaxed standard of judicial review or relaxed intensity of judiciary control on promotion-exclusion discretionary actions against civil servants(Supreme Court of Korea, Decision of 27 March 2018, 2015Du47492).
    Thus, when promotion-authority holders exerted “the tremendously excessive discretion permitted by court”, it was liable to exert the discretion arbitrarily, abusively. Furthermore, civil servants’ chance to have any promotion-exclusion discretionary actions reviewed legally when their fundamental rights to equal opportunity of promotion are violated by such a promotion-exclusion discretionary action have been limited significantly.
    Nevertheless in this decision(Supreme Court of Korea, Decision of 4 January 2024, 2022Du65092), the Korean Supreme Court has held that, for the first time, “No unrestricted discretion is allowed in the process of preparing a list of candidates for promotion or reviewing and deciding whether to appoint a candidate for promotion.” The Korean Supreme Court’s recent decision made it clear that promotion-authority holder’s discretion should be limited by legal-binding force derived from Art.7 in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career civil service system and the principle of meritocracy and performance-based system.
    The legal meaning and principle of “Art.7 in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career civil service system and the principle of meritocracy and performance-based system” has been concretized by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s decisions, especially reviewing about the Constitutional Right to Hold Public Office(Art.25 in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his is referred in “Supreme Court of Korea, Decision of 4 January 2024, 2022Du65092”.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contents of the Korean Supreme Court’s recent decision, “Supreme Court of Korea, Decision of 4 January 2024, 2022Du65092” into general standard of judicial review or intensity of judiciary control on promotion-exclusion discretionary actions against civil serva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감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