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8〜10세기 동아시아 무역네트워크 (A Study on the Trade Network of East Asia from the 8th to the 10th Centur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2.12
29P 미리보기
8〜10세기 동아시아 무역네트워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 / 12호 / 123 ~ 151페이지
    · 저자명 : 윤재운

    초록

    니시지마의 동아시아세계론은 907년 唐의 멸망에 의해서 국제적인 정치질서로서의 동아시아 세계가 붕괴되고, 그 대신 경제적 교역권으로서의 동아시아세계가 출현했다고 보아 10세기를 변화의 전환기로 파악했다. 확실히 중국사를 기준으로 할 때는 10세기 초의 변화가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으나, 한편 한국과 일본사의 입장에서 보면 10세기의 변화는 8세기의 연장선상으로 보아야 하지 않을까 한다. 특히 중국·일본과의 무역활동을 보면 8세기 초부터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어 동아시아 무역권의 성립 시기를 8세기로 소급하여 이해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된다.
    그 근거는 첫째, 唐은 8세기초 開元年間을 경계로 조공을 중심으로 한 공무역 정책에서, 사무역을 용인하는 정책으로 변하였다는 것을 들 수 있다. 무역정책의 변화의 계기는 당의 재정압박에 따른 재원확보를 도모하기 위함이었다. 이후 安史의 난을 계기로 절도사 같은 지방관리, 市舶使 등에서 무역을 관리하는 등, 전반적으로 무역의 담당층이 늘어가는 추세를 알 수 있었다. 둘째로는 『新唐書』券43下, 地理志 7下에 실려 있는 賈耽의 『道里記』를 들 수 있다. 이처럼 9세기 초두에 세계지도, 지리總攬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작성된 것은 그 만큼 중국과 주변 여러나라와의 교섭이 빈번해진 정황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동아시아 무역 네트워크가 기능한 공간은 크게 황해, 동해, 오호츠크해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 가운데 황해는 장보고로 대표되는 신라 상인과 발해 상인의 활약이 주목되고, 동해는 고구려 및 발해 관련 사절단, 그리고 오호츠크해는 숙신·읍루족이 주역이었다.
    이러한 동아시아 각국의 해상교통에 의한 무역은 907년 이 멸망한 뒤 반세기 간의 과도기를 거친 끝에 등장한 송왕조가 거란과 여진 등 북방 유목민족들의 군사적 압박을 받던 시기에 오히려 더욱 발달했다. 비록 송은 당의 계승국가로 자처했지만, 유목민족국가들에 대한 공포감 때문에 소극적인 외교정책을 펼 수밖에 없었다. 실제로 송은 유목민족국가들에 많은 양의 歲幣를 바치는 조공국가 처지로 떨어지고 말았다. 이처럼 중국이 동아시아에서 종주국의 지위를 상실하게 된 반면 민간의 사무역은 더욱 활발해져서 국가 간의 경계를 교묘하게 넘나들며 동아시아전역에 걸친 경제적 무역권을 구축해 갔다.

    영어초록

    In his World Theory of East Asia, Nishijima argued that the collapse of Ting Dynasty in 907 brought down the world of East Asia as an international political order and led to the world of East Asia as an economic trade zone and regarded the 10th century as a turning point of changes. While it is apparent that the changes in the early 10th century are significant in Chinese history, they should be seen in the extension of the 8th century in Korean and Japanese history. Especially considering that trade activities between China and Japan became prominent in the early 8th century, the trade zone of East Asia should be understood to have been formed in the 8th century.
    There are a couple of grounds for the argument: first, Ting Dynasty moved from the old tribute-based public trade policy to the policy allowing for private trade in the Kaiyuan Period in the early 8th century. Those changes of the trade policy were attributed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according to the financial pressure. After An Shi Rebellion, the groups in charge of trade generally expanded to include local officials such as military governors and the Officials of Shi Bo Si. The second ground is 『Daoliji』by Jia Dan in Geograpy 7b, Xin Tang shu Vol. 43b. The fact that something that can be called a world map or comprehensive survey of geography was made in the early 9th century indicates that bargaining between China and its surrounding countries became more frequent.
    In East Asia, a trade network was feasible in Yellow Sea, East Sea, and Okhotsk Sea. In the Yellow Sea, the activities of Shilla traders represented by Jang Bo-go and Balhae traders were prominent. The Goguryeo- and Balhae-related delegations and Sushen Yilou played a leading role in East Sea and Okhotsk Sea, respectively.
    Trade via the marine transportation of each country in East Asia became even more active when Song Dynasty, which was established after 50 years of transition period after the collapse of Ting Dynasty in 907, was under the military pressure of northern nomads such as Kitan and Jurchen. Even though Song Dynasty declared itself as the successor of Ting Dynasty, it could not help implementing passive diplomatic policies due to its fear for nomad countries. In fact, it ended up offering a lot of annual tribute(歲幣) to nomad countries as a tribute country. While China lost its status as the suzerain state of East Asia, its private trade grew even more active. Chinese traders formed an economic trade zone across East Asia, crossing the borders skillfu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탐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