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조선족의 독일 이주 연구 (A Study on the Migration of the Korean-Chinese in German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3.09
24P 미리보기
중국 조선족의 독일 이주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63호 / 57 ~ 80페이지
    · 저자명 : 한성훈

    초록

    이 연구는 독일 남부지역에서 현지조사를 통해 중국 조선족의 이주 경험을 분석한다. 21세기는 이주의 시대다. 국제이주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오늘날 중국 조선족은 한국으로뿐만 아니라 전 세계로 이주하고 있는 소수민족으로서 글로벌 서비스 계층이다. 중국 조선족의 해외 진출은 1990년대 중반부터 독일을 중심으로 이주한 이후 전 유럽으로 확대되었다. 독일에는 20세기 후반 두 개의 이주민 흐름이 있었다. 하나는 부족한 노동력을 메우기 위해 1960년대부터 1970년대 초반 남유럽과 동남유럽 국가로부터 초청노동자(Gastarbeiter)를 받아들인 것이다. 다음으로 독일로 송환된 독일인이나 동독이주민은 이민자들의 두 번째 집단을 구성했다. 독일에서 지난 20년은 이주민 통합을 위한 과정이었다. 독일은 2005년부터 이민정책의 모든 측면을 고려해 법적인 규범을 제공하는 새로운 이민법을 시행했다. 조선족의 이주 경험을 요약하면 이들은 유동민족(mobile ethnicity)이자 이주계급(migrant class)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독일에 이주한 중국 조선족은 거주민으로 살고는 있지만 시민사회에 통합되거나 시민으로서 정체성을 갖고 있지 않다. ‘그림자’와 같은 존재라고 여기는 것처럼 그들은 제한되고 고립되어 있으며 타자화된 노동자다. 이들이 진입할 수 있는 노동시장은 계층 상승을 기대할 수 없는 서비스업종에 집중되어 있고 독일사회로부터 고립된 상태에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지키려 하고 주변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bout the migration experiences of the Korean-Chinese people living in the southern ares in Germany. This paper analyzes the dynamic formation of migrant classes within this Korean-Chinese, and focuses on mobile ethnicity and migrant workers who have settled in Stuttgart and Tübingen. Two parallel migration flows shaped the immigration to Germany in the second half of the last century: In the 1960s and early 1970s, in response to labour shortages prompted by economic revival, Germany recruited guest workers(Gastarbeiter) from countries in South and Southeast Europe. Ethnic Germans repatriated to Germany, or (Spät-)Aussiedler, constitute the second major group of immigrants. Acquiring German citizenship has been simplified and promoted and a new immigration law from 2005 provides a legal framework that considers all aspects of immigration policy. In summary, Korean-Chinese have been settled in the Germany since 1990's mid and.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Korean-Chinese migrants, this paper examines their forms of labor, ritual of everyday, collective identity and relations with Koreans within the same community. Finally, This study analyzes how these Korean-Chinese migrants have been adapted to themselves surroundings. They aren't integration and assimilation to the German civil society as the mobile ethnicity and migrant class serviced low stratum and have been demonstrated tendency to isolation and margin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