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충단 관련 자료를 통한 장충단 부지와 건물 특성 분석 (Analysis of Jangchungdan site and building characteristics through Jangchungdan related data)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22.06
14P 미리보기
장충단 관련 자료를 통한 장충단 부지와 건물 특성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건축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건축역사연구 / 31권 / 3호 / 17 ~ 30페이지
    · 저자명 : 홍현도

    초록

    장충단은 1900년에 고종의 명에 의해 원수부가 건립하였는데, 을미사변과 갑오농민운동으로 사망한 관군의 제사를 지내는 곳이었다. 장충단의 대표적 문헌자료는 『장충단영건하기책』이 있다. 『장충단영건하기책』은 장충단의 영건(營建)과 관련하여 사용된 금액을 기록한 것으로 장충단 건축과 관련하여 시설별 축조방법을 신건(新建), 중건(重建), 수리(修理), 수축(修築) 등으로 구분하여 기록하였다. 장충단 관련한 시각 자료로는 지도와 배치도, 각종 사진 자료가 있다. 해당 시각 자료들을 바탕으로 『장충단영건하기책』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장충단은 남산의 동북쪽, 남소문동천이 흐르는 골짜기에 위치하였다. 이러한 입지 특성으로 장충단 내에는 여러 단차를 두고 건물이 조성되었으며, 이 단을 이동하기 위한 계단이 다수 설치되었다. 장충단은 가로지르는 남소문동천과 그 지류를 건너기 위한 석교와 목재로 된 판교 등이 위치한다.
    장충단의 중심 건물인 단사는 3개의 단 위에 위치하였다. 단사는 조적식 건물로 전면은 3칸으로 구분하고 중국의 괘락미자 형태의 장식을 하였으며, 현판 받침 역시 중국 양식을 하고 있다. 괘락미자의 문양과 벽체 문양은 대한제국을 상징하는 이화문을 사용하였고, 건물 내부에는 태극기 등으로 장식하였다. 지붕은 금속으로 추정되는 골판재를 사용하였고, 처마 끝에는 양철로 된 물받이 홈통을 두었다.
    장충단비를 보호하는 비각은 남소문동천 건너에 위치한다. 건물은 6각형으로 단순한 목구조 형태로 추정된다. 건물 주변으로는 목책을 둘렀으며 서쪽으로 문을 두었다.
    양위헌과 장무당은 각 17칸 반, 10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기존 건물을 수리하여 중건한 것이다. 두 건물 모두 건물 전면에 유리창이 있는 판문을 달았으며, 건물 내부바닥은 마루이고, 벽체는 판벽 구조였다. 건물 재료로 유리, 양판문(洋板門), 붉은 벽돌, 경첩 등과 같은 개항으로 유입된 신문물이 사용되었다.
    요리정은 장충단제 중 입식(立食) 장소로 계획된 공간이다. 사방이 트인 형식로 단순한 가구식 목구조로 지어졌으며, 지붕재는 단사와 같은 골판재를 이용하였다. 3방향으로 목책을 두르고 2곳에 문을 내었으며, 문 위로는 철로된 아치를 만들고 등을 달았다.
    고직처소, 사졸처소는 방과 마루를 둔 건물로 기존의 건물을 수리해서 사용한 것이다. 건물에는 방과 마루를 갖추었다. 변소에는 대변기, 소변기 등을 설치하였다.
    장충단은 남소문동천을 두고 남산자락에 위치하여 여러 단을 두고 건물을 배치하였고, 이 단차를 오르내리기 위한 계단이 건물을 중심으로 놓였다. 장충단의 건물들은 개항으로 유입된 서양식 건축구법과 재료가 사용되었으며, 복장과 생활 변화에 따른 부재들도 설치되었다. 단사는 중국 형식으로 건설되었으나, 조선시대 사당 평면이 여전히 반영되고 있었다. 이것은 장충단제와 같이 광무개혁의 기본이념인 구본신참이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Jangchungdan was located northeast of Namsan, to flow Namsomundongcheon. The site has gradient, so the architectures considered the topography as well as for the memorial ceremonies. Each buildings has the stylobate. The steps for people to go up and down such podiums are placed around the buildings. The Western-style constructional methods and materials introduced by the opening of ports were used for a variety of Jangchungdan buildings with differentiated levels of podiums, for Jangchungdan memorial ceremonies, and other building materials were also installed along with the changes in clothes and lifestyles. Although Dansa was constructed in the Chinese style, it reflected the traditional floor plane used in Joseon Dynasty, which in turn is thought to reflect Gubonsincham, the basic concept of Gwangmu Reform, as in the case of Jangchungdan memorial ceremon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건축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