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0.02
18P 미리보기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아동교육 / 19권 / 1호 / 115 ~ 132페이지
    · 저자명 : 이기영, 최성열, 신성철, 장성화

    초록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와 부모의 인식을 비교해 봄으로써 유아교육기관과 가정과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연계방향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대구시와 경상북도에 위치한 26개 유치원과 34개 어린이집 교사 283명과 교사가 담임하는 유아의 부모 286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다문화교육의 지식, 다문화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탐색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교사와 부모의 다문화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차이에 대해서 부모에 비해 교사의 경우 ‘우리 민족에 대한 긍정적인 정체감을 발달시키기 위해’, ‘세계화 시대에 필요한 융통성과 개방성을 가진 유능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인종, 성, 사회적 지위, 장애와 관련 없이 모두 평등함을 알게 해주기 위해’ 다문화교육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 교사와 부모의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인식 차이에 대해서 부모에 비해 교사의 경우 ‘유아에게 성공적인 세계시민으로 필요한 개방성과 융통성을 길러준다.’를 다문화교육 목표로 선정하여야 한다는 인식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에 비해 교사의 경우 ‘다양한 문화를 체험해서 생활의 지혜를 경험하는 내용’을 다문화교육의 내용으로 선정하여야 한다는 인식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육기관 교사와 부모의 다문화교육 문제점에 대한 인식 차이에 대해 ‘다문화 교육에 대한 교사 지식이나 이해의 부족’, ‘특정 민족이나 인종, 문화에 대한 편견이나 고정관념’, ‘다문화 교육에 관한 교사 연수 혹은 워크숍 부족’, ‘교육기관과 가정 연계성의 부족’이 부모에 비해 교사의 경우 다문화교육의 문제점이라는 인식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은 다문화교육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법으로 ‘유아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관심과 흥미유발’, 다문화교육을 실시할 때 교육 담당 기관에 기대하는 요구사항으로 ‘다양하고 구체적인 수업방법 제공’을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of connection direction regarding multicultural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and family through comparing teachers’ point of view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and parent’s point of view regarding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286 parents and 283 teacher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buk-do were surveyed.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wo questionnaires for teachers and parents respectively, which were based on Choi, Yun Young(2007).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7.0 progra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recognition significantly difference of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teachers think compared to parents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was needed for improving positive identity of our nation, nurturing talented people who have flexibility and openness for globalized generation, and recognizing equality regardless of race, gender, social level, and physical difficulties. Second, regarding recognition significantly difference of the objectiv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teachers think compared to parents that objectiv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nurturing flexibility and openness for early childhoods to be the successful world citizen. In addition, comparing to parents, teachers think that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learning living wisdom by experiencing various cultures. Third, regarding recognition significantly difference of the problem of multicultural educat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teachers think compared to parent’s ideas that problems were the lack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eachers, prejudice and stereotype of specific nation, race, and culture, the lack of workshop and training sess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eachers and the lack of connection between education institutions and families. Fourth, improving methods to activate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s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think that there should be induction of interest for early childhoods’ multicultural education. To requested conditions for education institution in charge, there should be providing various and detailed lesson metho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동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