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의 다문화주의와 결혼이주여성 (Multiculturalism and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0.09
16P 미리보기
한국의 다문화주의와 결혼이주여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수록지 정보 : 유라시아연구 / 7권 / 3호 / 259 ~ 274페이지
    · 저자명 : 조희원

    초록

    최근 국내에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의 수는 이제 110만 명을 넘어 전체 인구의 2.2%를 차지한다. 다른 선진국에 비하면 아직은 낮은 비율이지만 저출산․고령화 사회라는 한국사회의 새로운 변화 속에서 이주 외국인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므로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은 우리의 선택이 아니라 필연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결혼이주여성의 증가는 초국적인 지구화로 인한 인구이동의 결과이기도 하지만 저출산, 고령화, 남녀간 성비의 불균형, 여성독신자 비율의 증대, 그리고 농촌을 기피하는 한국여성의 가치관 등이 작용하여 나타난 현상이다.
    한국사회에서의 국제결혼은 한국전쟁 이후 미군과의 결혼으로부터 시작되어 그 이후에는 선진국 남성과 결혼하는 방식으로 이행되어 왔다. 그러나 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는 농촌의 남성들이나 저소득층의 남성들은 경제적 수준이나 문화적 여건 등으로 인하여 결혼 적령기가 지났음에도 결혼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그러자 정부에서는 1995년부터 “농촌총각 장가보내기”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고, 그 결과 국제결혼은 빠른 속도로 증가하게 되었다. 저개발국가의 여성들은 한국 국적 취득과 경제적 지위 향상, 빈곤 탈출의 한 방편으로 국제결혼을 하는 경우가 많아졌는데, 이렇게 급격히 늘어난 국제결혼은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특히 중국과의 수교로 급격히 늘어난 국제결혼은 중국 조선족 여성들의 위장결혼으로 인해 심각한 사회문제로 제기되자 2000년대에 와서는 중국 조선족 여성과의 국제결혼은 서서히 줄어들기 시작했고 동남아여성과 몽골, 우즈베키스탄과 같은 아시아 개발도상국 여성과의 국제결혼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아시아 개발도상국이나 동남아 국가로부터의 두드러진 결혼이주현상은 국가․지역간의 불균등한 경제적 차이로 인한 문제 뿐 아니라 인종, 민족, 문화, 종교, 계급, 젠더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어 더욱 심각한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다문화사회가 서로 존중받고 공존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하여 이주민들에게는 한국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새로운 시민이라는 의식을 갖도록 도와주어야 하고, 내국인들에게는 그들과 우리가 다른 것은 ‘틀린’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특별한 ‘다름’을 뜻하는 것이므로 서로 인정하고 존중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즉 다문화사회에서 나타나는 인종, 민족, 그리고 종교 등의 사회문화적 다양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차이와 다름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오히려 가치 있게 여기며 서로 존중하는 시민의식을 고취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한국사회의 정치적 존재로서 결혼이주여성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당당한 시민으로서 살아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Presently, the number of residing foreigners became over 1.1 million, reaching 2.2% out of total population. Compared with developed countries, though it is low percentage, when considering the increasing speed of incoming foreigners, low birth rate and aging, the transition to multicultural society is not our choice but necessity. An increase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is not only the result of population movement caused by super-national globalization but also in other side, proceeded with Korean demographic traits such as low birth rate, aging, inequality in sex rates, increased rate of spinsters and action of Korean women's values which is avoiding rural area.
    The rate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had largely increased from mid-1990's caused by amity with mainland china, and after 2000, most of cases were that women came from underdeveloped countries got married so called Korean dream of Korean nationality acquisition and upgrade of economic position and etc. through marriage as a means of escaping from poverty. Particularly, as men like bachelors in farming and fishing communities were excluded in marriages with Korean women due to the his economic level or cultural conditions, from 1995, government initiated the campaign “getting a bride for a rural bachelor” and consequently international marriages were further more increased. However, as disguised marriage problem with Korean Chinese women has become a serious social issue, in 2000's, trend is that international marriages with women came from underdeveloped countries like south-east Asian countries, Mongolia, Uzbekistan, etc. were increased, while international marriages with Korean Chinese women were decreased.
    For coexisting society with mutual respects among multi-races/multi-cultures, it is required that making immigrants have recognition of new citizen in Korean society as members of local community at the same time natives have recognition of comprehension and tolerance to agree and respect mutually other things not as wrong but as special ones. That is, It is required to promote awareness of new democratic citizenship recognizing positively differences, being different resulted from social-cultural diversities such as race, nation and religion, etc. emerging in multi-cultural society and regarding those as valuable and mutually respecting ones. We need to make female marriage immigrants to recognize their importance and necessity as political being in Korean political society and make foundation for them to live as proud democratic citizen in local comm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라시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