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뉴로피드백 훈련을 활용한 뉴로리더십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뇌기능 지수, 취업스트레스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eurofeedback Training-utilized Neuroleadership Program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 Brain Quotient, Job Str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5.12
27P 미리보기
뉴로피드백 훈련을 활용한 뉴로리더십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뇌기능 지수, 취업스트레스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취업진로학회
    · 수록지 정보 : 취업진로연구 / 5권 / 4호 / 1 ~ 27페이지
    · 저자명 : 김수진

    초록

    본 연구는 뉴로피드백 훈련을 활용한 신경과학기반 뉴로리더십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뇌기능 지수, 취업스트레스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남녀 대학생 17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1회 4시간씩, 매주 2회, 총 12회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남녀 대학생 16명을 프로그램을 받지 않는 무처치 집단인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뇌기능 지수(BQ) 측정을 위한 뇌파검사와 취업스트레스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측정을 위한 설문지 검사를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에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독립 이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 뉴로리더십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뇌기능 지수의 일부 영역, 취업스트레스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뉴로리더십에 대한 연구가 초기 단계에 있기 때문에 선행연구가 미흡한 상태에서 이루어진 탐색적 연구의 성격을 갖고 있다. 따라서 추후 대학생을 비롯한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뉴로리더십 프로그램을 확대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반복 검정해나가는 것이 확인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향후 뉴로리더십의 종단적 연구설계를 기반으로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뉴로피드백 훈련을 활용한 뉴로리더십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뇌기능 지수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높여주고, 취업스트레스는 낮춰주는 결과를 가져 왔음을 보여주고 대학생 시기에 뉴로리더십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추후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뉴로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를 재검증하고 뉴로리더십 척도 개발 및 관계 연구 등의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brain quotient, job str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who received neurofeedback training- utilized neuroleadership program.
    To attain at its gold of study, I have established the following assumptions and verified its effects.
    The targets of research were selected from 33 university students of D university located in Changwon and 17 of them were arranged into a experimental group and 16 of them were arranged into a control group.
    17 university students who received the neurofeedback training-utilized neuroleadership for 4hours at once, 2 times every week as the experimental group. 16 univerisity students who had not received any program as the control group.
    Brain Quotient was measured using a 2-Channel Brainwave Measure System developed by Briantech Corp., Korea and analyzed by brainwaves throught BQ analysis. Job Stress was measured using a redesigned version of Job Stress test developed by Yu-Lee Ka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measured using a CDMSES-SF(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Scale Short Form) developed and standardized by Ki-Hak Lee, Hak-Ju Lee.
    The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rough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18.0. The differneces of two groups were analyzed through using the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wo samples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neurofeedback training-utilized neuroleadership progra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ome of quotients and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ome of quotients of brain quoti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tr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Except for the family nature of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environmental stress, stress, school stress , school stress environment , job insecurity and stress at work stress the whole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 Also, career decision career information collected except for the target sub-set of the factors of self-efficacy, planning, problem solving, self-assessment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a who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suggest that neurofeedback training-utilized neuroleadership program can contribute to increase brain quotient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decrease job stress in university studen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in the needs of expanding the neuroleadership program related research in neuroleadershi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