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佔畢齋金先生門徒添刊辨破錄』의 刊行과 門人錄 (Publication of Jeompiljae Kimseonsaeng Mundo Cheomgan Byeonpalok and Muninlok)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4.12
38P 미리보기
『佔畢齋金先生門徒添刊辨破錄』의 刊行과 門人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지학연구 / 60호 / 381 ~ 418페이지
    · 저자명 : 권석창

    초록

    변파록(辨破錄)은 어떠한 문헌이 편찬되었을 때, 이 문헌의 내용에 대해 반(反)하는 의견을 가진 사람이나 집단이 문헌 내용의 수정을 요청하기 위해 작성한 기록으로, 변무록(辨誣錄)에서 파생된 개념이다.
    본고에서는 서적의 간행과 연관된 변무록 류의 서적 가운데 『점필재김선생문도첨간변파록(佔畢齋金先生門徒添刊辨破錄)』(이하 『첨간변파록(添刊辨破錄)』)을 통해 『점필재집(佔畢齋集)』의 「문인록(門人錄)」 간행과 관련한 일련의 과정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가장 핵심이 되는 자료인 『점필재집』의 여러 판본을 살펴보았고, 특히 『점필재집』에 문인록이 수록되는 기유본(己酉本) 이후에 중점을 두었다. 그 과정에서 기사본(己巳本)의 간행의 특이점이 대개 『점필재집』 「문인록」에 새로운 문인을 첨가해 넣는 것과 관계있음을 살펴보았다.
    『첨간변파록』은 1869년에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본손인 김식(金埴)이 『점필재집』을 간행하던 과정에서 팔가구현(八家九賢)의 문도를 새로이 첨입하여 간행하는 등의 부정을 저지른 것에 대해 변파할 때, 그 전말에 관계되는 통문(通文), 서찰(書札) 그 밖의 여러 공문(公文)을 수록하여 1875년에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의 14대손인 김취동(金聚東) 등이 편찬한 책이다. 본고에서는 그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고, 그 내용들이 변파록 서적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형식인 축조변파(逐條辨破)로 이뤄졌음을 소개하였다. 이러한 변파사건의 결과로 점필재 집안에서 문집(文集)을 새로 간행하겠다는 약속을 받게 된다.
    또 그 과정을 수록한 첨간변파록』과 함께 『점필재선생문인록』도 간행되었는데, 본고에서는 그 수록 문인과 여러 판본의 『점필재집』에 수록된 「문인록」을 대조하여, 처음 「문인록」을 수록하여 간행한 기유본에 49인의 문인이 수록되어 있었지만, 실제 박재공(璞齋公)이 작성한 정본(定本)에는 50인이 기재되어 있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첨간변파록』의 간행 이후의 상황에 대해서는 임진본(壬辰本)의 간행과 연관하여 살펴보았다. 기존에 알려진 간행사유에 대해,『첨간변파록』도 그 간행 사유 중 하나로 추정하여 살펴보았는데, 이는 연보와 부록의 편차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문인록은 김뉴(金紐)의 정본을 중심으로 문집류와 변파록류의 2가지 계열로 나타나는데, 이는 문도 첨간에 대한 다툼이 「문인록」에도 반영되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Byeonbalok(辨破錄) is a record to request any revision of literary contents by people or group having opposite opinions which was derived from Byeonmulok(辨誣錄).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publication of 「Muninlok(門人錄)」 of 『Jeompiljaejip(佔畢齋集)』 through 『Jeompiljae Kimseonsaeng Mundo Cheomgan Byeonpalok(佔畢齋金先生門徒添刊辨破錄)』 among books of Byeonmulok.
    For this purpose, the printed version of the key resource 『Jeompiljaejip』 was examined, and peculiar features of Gisabon(己巳本) publication was related to the addition of a new literature figures at 「Muninlok」 of 『Jeompiljaejip』.
    『Jeompiljae Kimseonsaeng Mundo Cheomgan Byeonpalok』 was edited by Kim Chui Dong(金聚東) and others by collecting the full account documents on the addition of Mundo of Palgaguhyeon(八家九賢) in the publication of Gisabon 『Jeompiljaejip』. In this study, the specific details were examined, and described that the promise of new publication of Munjip by the family of Jeompiljae as a result of Byeonpa incident.
    Together with 『Jeompiljae Kimseonsaeng Mundo Cheomgan Byeonpalok』, 『Jeompiljae Seonsaeng Muninlok(佔畢齋先生門人錄)』 was published also. This study compared contained literary figures with 「Muninlok」 contained in various versions of 『Jeompiljaejip』 and suggested a possibility that 50 persons would be included in the original version prepared by Park Jae Gong(璞齋公).
    The situation after publication of 『Jeompiljae Kimseonsaeng Mundo Cheomgan Byeonpalok』 was examined in relation to the publication of Imjinbon(壬辰本). As for the known reasons of publication, the study assumed that 『Jeompiljae Kimseonsaeng Mundo Cheomgan Byeonpalok』 would be one of the reasons of publication which was confirmed by the gap between chronology and appendix.
    And, Muninlok appeared in two series as Munjip and Byeonpalok based on the original version of Kim Nyu(金紐), which seems to reflect conflicts on Mundo Cheomgan into 「Muninlo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