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명나라 태조의 『조훈록(祖訓錄)』에 기재된 조선 태조 종계의 ... 오류와 사왕시해라는 악명을 바로잡기 위해 명나라에 사행한 사신들의 종계변무 ... . 종계변무의 단초는 명 태조 주원장이 쓴 『황명조훈(皇明祖訓)』이 제공한 ... 중종 연간부터 변무 활동이 끝난 선조 22년까지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 . 이러한 오류가 변무되는 과정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한 것이 바로 본고의
신료들과 화답한 시를 모아『광국지경록』을 편찬했다. 이에 수록된 시문의 ... 종계변무 사건: 홍순언의 역할과 선조대 정치 상황을 중심으로 목 차 1 ... . 머리말 2. 선조대의 정치적 상황과 종계변무를 통한 의도 3. 역관 ... 중에서 종계변무(宗系辨誣)를 해결하기 위한 강한 의지와 노력을 기울였다 ... . 종계변무는 명나라의 종합 법전,『대명회전(大明會典)』에 조선을 건국한
할 수밖에 없었다. 용연서원 소장 고문서 중 『변무록』에는 이러한 혐의에 ... 정인홍 문인 또는 『산해사우연원록』과 관련하여 어느 정도 연구가 되어 ... 사우연원록』을 저술할 만큼 당대 대표적인 남명의 사숙제자였다. 그러나 ... 문서를 통해 17~18세기 용연서원의 변무와 활동을 살펴본 논문이다. 용연 ... 반대 측에서 항상 거론되었던 혐의였고 용연서원 측에서는 이 부분을 변무
사』, 『국조보감』, 『좌전』, 『유선록』, 『태평어람』, 『역 대명신주의 ... 변무를 통하여 명나라 조정으로부터 명예를회복하고 찬사를 얻음으로써 ... 천자의 위엄으로 국내의 여론을 평정하였다. 이러한 변무 활동이 성공을 거둔 ... 서적 변무 활동 중의 어두 운 그림자였으며, 명나라와 조선에게 있어서는
) 등이, 낙엽활엽수림은 신갈나무군 락 (Quercus mongolica ... community)을 비롯하여 졸참나무군 락 (Quercus serrata ... 11개 군 락으로 구분되었다. 과거 2차 자연자원조사(국립공원관리 공단 ... 개 군락으 로 구분된 바 있다. 이중 물갬나무군락과 좀잎산오리나무군 락 ... , 물푸레나무군락, 밤나무군락 등 총 11개 군 락으로 구분되었다. 과거 2차
운동기록물, 일성록, 팔만대장경, 난중일기, 새마을 운동기록 ... 저술한 일본 견문록 다. 기타 = 동남아시아 1) 류큐·시암·자와(자바 ... 들의 역사서?「이향견문록」: 중인 유재건이 지은 중인층 인물 기록 ... 족 처리 문제 ↓ ② 고명·금인 문제 : 명이 태조 불인정 ↓ ③ 종계·변무
가며 교섭을 했다. 홍순언은 그 후에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었고) 당 ... 다시 종계변무사(宗系辨誣使) 황정욱을 따라갔다가 예부시랑 석성의 계실(繼室 ... )이 된 그 여인을 만나 종계변무의 어려운 일도 바로 잡고 돌아왔다. 그 ... 잘못 적힌 ‘종계변무’라는 외교문제가 있었고, 이를 바로잡기 위해 전후 ... 공경하며 종계변무도 잘 해결하고 그 후 왜란 때의 원군 요청에도 힘써주었다
인조반정과 조명관계」. [부록] 제 26 회 동양학 학술회의록 : 강연 ... 동일하다. 그러나 당상의 성분이 변무 득 국방, 재정, 외교에 밝은 ... . 그리고 훈련대장이 평시에는 당상으로 차출되지 않고 낭청의 역할이 변무 ... 와 관련되어 실질적으로 큰 역할을 하는 점, 비상시기에 변무에 밝은 당상의 ... 숫자가 증가되는 점, 구관당상이 변무에만 관련되는 점 등은 이 시기 비변
3. 사실성과 허구성 1. 작자논쟁 4. 몽유록 소설 1.1 백호 임제 ... 설 4.1 에서 몽유의 장치 1.2 매월당 김시습설 Ⅳ ... . 맺음말 1.3 관란 원호설 Ⅰ. 머리말 은 사육신의 문제를 ... 알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의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고 ... 바탕으로 한 소설인 만큼 그 사실성과 허구성에 대한 이해와 몽유록 소설로서의
주장을 내세우기보다 실제로 있었던 일을 충실하게 기술 -나만갑의 ... , 마지막의 제문은 상당한 장문 -황중윤의 (達川夢遊錄 ... (龍門夢遊錄): 경상도 안의(安義)의 황석산성이 적에게 ... 내막을 폭로하고 규탄한 내용 -(皮生夢遊錄): 작자?창작연대 ... 상황을 배경으로 탐학한 벼슬아치를 규탄한 작품 -(江都夢遊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