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사족 문중의 형성 : 파평윤씨 노종파(魯宗派)의 사례 (The Formation of Sajok (士族) Mun-joong in the 17th Century Korea - the case of Nojong-pa(派) lineage of Papyung-Yun Clan)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09.07
17P 미리보기
17세기 사족 문중의 형성 : 파평윤씨 노종파(魯宗派)의 사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사회과학연구 / 20권 / 3호 / 31 ~ 47페이지
    · 저자명 : 김필동

    초록

    이 글은 사례연구를 통해 17세기 사족 문중 형성의 과정과 특징, 그리고 이에 작용한 요인을 살펴본 것이다. 사례는 논산 지역의 파평윤씨 노종파 문중이다. 노종파 문중은 16세기에 처가 재산 상속의 과정에서 입향한 파평윤씨 윤돈과 그의 아들 윤창세의 후손으로 구성된 문중이다. 이 문중은 17세기 중엽에 형성되기 시작하여 후반에 가면 좀 더 완전한 형태를 갖추게 된다. 문중 형성의 시발점이 된 것은 종손인 윤순거가 1645년에 만든 「종약(宗約)」이다. 「종약」은 조상제사와 아동 교육, 그리고 이 둘을 위한 재원의 확보와 관리라는 세 부분으로 구성되며, 이 세 부분은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종약」의 내용은 윤순거와 사촌 형제들의 학문적 성장 배경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17세기란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그리고 이후에도 「종약」은 문중 결속의 이론적, 방법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17세기 문중의 형성은 16세기에서 17세기로 넘어가면서 나타난 사회경제적 변화, 즉 가족제도 및 상속제의 변화와 성리학의 발전, 사족집단의 광범위한 형성과 활동 확대, 그리고 전란으로 인한 전답의 황폐화라는 시대 상황을 배경으로 한다. 이런 변화 속에서 사족집단의 단위가족은 경제적 상황의 악화를 일반적으로 겪게 되는데, 이에 대한 사회ㆍ문화적 대응의 결과가 친족집단 결속의 한 형태인 문중의 형성으로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studied the formation processes and characteristics of a Yangban Mun-joong (lineage group) in the 17th Century, and the factors affected to them, as a case study of Nojong-pa lineage in Nonsan area of Chungnam Province. Nojong-pa is a lineage group composed of the decendents of Yun-don(尹暾) and his son Yun-changse(尹昌世)who came to stay in this area in the 16th century. This Munjoong had been forming in the mid-17th century and has grown up to more systematic shape. The starting point of this Moon-joong was the "Jong-yak" (the agreement of lineage group) enacted in 1645 made by Yun-soongeo(尹舜擧), the eldest grand son. The "Jong-yak" was composed of three parts, including ancester worship rites, children education and funding for these two activities, which were closely combined each other. The contents of the Jong-yak were closely related with the academic growth background of Yun-soongeo and his cousins and reflected the situations of the times. And the Jong-yak gave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ground of kinship ties. The formation of Mun-joong in the 17th century was the results of the social and economical changes of the times, for example, the changes of family system and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wide-ranging formation and activities of "Sajok" group, and the devastation of farming fields. In these changes, the unit families of Sajok group generally suffered the economic difficulty and one of the important social and cultural responses of these family groups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Munjo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