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90년대 수도권 형성과 한국 도시성의 전환 (Formation of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ransformation of Korean Urbanism in 1990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0.09
36P 미리보기
1990년대 수도권 형성과 한국 도시성의 전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127호 / 219 ~ 254페이지
    · 저자명 : 김백영

    초록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은 ‘한강의 기적’으로 표상되는 한국의 압축 근대화의중핵 지대로서 20세기 후반 한국사회 특유의 압축 도시화를 대표하는 지역이다. 이 글에서는 1990년대 수도권 광역대도시권 형성의 초기 국면에 주목하여 이 시기한국 도시성의 변화 양상을 다음 세 가지 측면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았다. 첫째는도시정치 레짐 차원의 변화로, 이 시기 서울시에서는 정도(定都) 600년 기념사업과역사 바로세우기(구 조선총독부 청사 철거)사업이라는 두 가지 기념비적인 관 주도적 사업과 더불어 지방자치제 시행에 따라 다양한 정책적 전환이 모색되었다. 하지만 관선에서 민선으로의 제도적 전환에도 불구하고 도시정치 레짐은 이전 시기의관성에서 쉽사리 벗어나지 못하는 연속성이 두드러졌다. 둘째는 물리적 공간·환경 차원의 변화다. 1990년대는 수도권 제1기 신도시 개발과 더불어 도시개발의광역화 현상이 전국적으로 확산된 시기로 대규모 아파트단지의 생활환경 개선 및수도권 교통대란 해소 등 도시인프라 확충 문제가 시급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셋째는 도시사회의 문화적·의식적 차원의 변화다. 이 시기는 소득수준과 교육수준 향상과 더불어 아파트 주거문화를 비롯한 대도시 신흥 중산층 생활양식이 확산되면서 중산층 소비문화 현상이 크게 늘어난 시기이자 성수대교 붕괴나 삼풍백화점 붕괴와 같은 외상적 사건이 시민의식에 큰 충격을 던진 시기이기도 하다. 이러한 변화는 과거 권위주의 정부에 의해 주도된 도시개발의 관행에 대한 성찰의 계기를 제공했지만, 이후 수도권 신도시 개발과정에서 대자본이 주도하는 시장 주도적개발방식은 더욱 확산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처럼 1990년대는 민주화 이후 사회체제의 일시적 이완과 문화적 일탈이 나타난 시기임과 동시에 시민사회의 성장과더불어 환경문제 등 새로운 도시문제에 대한 대응책이 암중모색되는 시기였다. 1980년대의 경제호황과 도시성장을 계기로 형성되기 시작한 수도권 거대도시권은1997년 외환위기 이후 신자유주의적 도시화와 계층간 양극화라는 새로운 변화를맞게 된다. ‘87년체제’의 정착과 ‘97년체제’의 도입 사이에 수도권이 경험한 도시성의 전환은 20세기말 한국 도시성의 과도기적 변화 양상을 다차원적 역동성으로 보여준다.

    영어초록

    It is a well-known fact that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s the core area of Korea’s compressed modernization, represented as the “miracle of the Han River.” This area is a region which shows the unique compressed urbanization of Korean society in the late 20th century. Focusing on the process of Seoul’s metropolitanization in the 1990s, this article investigates three aspects of Korean urbanism and its changing patterns during this period. The first is the change of urban politico-administrative regime caused by the enforcement of the local autonomy act. Reflecting the politico-societal achievements of democratization of the so-called ‘the regime of 1987,’ the method of election of regional government heads has changed in early the 1990s. However, the practice of the authoritarian era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urban politics persisted. The second is the change in urban spatial and environmental dimensions. In the 1990s, the development of new c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development of urban regions spread across the country, and urban infrastructure issues such as the mass transportation network connecting Seoul and surrounding satellite cities into one metropolitan area emerged as urgent social requirements. The third is the change in the level of urban culture and civic consciousness. During this period, Seoul had several historical breaks that differentiated it from the previous periods: the government-led projects (e.g., the 600th anniversary of the capital’s designation and the demolition of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building) and the traumatic incidents (e.g., the collapse of Seongsu Bridge and the collapse of Sampoong Department Store). In addition, rising income and education levels and the emerging urban middle class in megacity areas led to higher a culture of urban mass consumption. While these changes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flect and improve the past practices of urban development, the authoritarian government’s capital-driven, market-oriented development also pushed the spread into new cities and beyond the Seoul metropolitan area. Despite the temporary relaxation and anomie of the urban governmental regime after the political democratization, civil society’s growth continues to alleviate new urban and environmental problems. The 1980s Seoul metropolitan area was destined to face a neoliberal change in urbanism heightened by socio-economical polarization after the 1997 financial crisis. As such, the great transformation of Korean urbanism between the ’88 Seoul Olympic Games and the 1997 financial crisis has taken place primaril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se findings underline Korean urbanism’s multidimensional dynamism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between democratization and neo-libera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