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교육 정상화의 의미와 논리 분석 (A Critique on the Meaning of Public Education Normalization and its Logic)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0.10
25P 미리보기
공교육 정상화의 의미와 논리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행정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행정학연구 / 38권 / 4호 / 1 ~ 25페이지
    · 저자명 : 조석훈

    초록

    이 연구는 누차 발표된 공교육 정상화 대책에도 불구하고 그 성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결론은 목표가 되는 공교육 정상화의 의미 자체가 불분명할 뿐만 아니라 정상화를 이루려는 정책의 논리는 오류 내지는 함정을 안고 있다는 것이다. 우선 공교육 정상화의 의미에 대해 현실 차원과 이념 차원을 구분하지 않았다. 또한, ‘공교육 병약론’과 ‘교육병리론’을 두 축으로 하는 관점에 따라 공교육 정상화는 서로 다른 가치와 문제의식을 갖게 되는데, 그간의 대책은 이러한 의미 좌표를 모호하게 처리함으로써 내적 모순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공교육 정상화의 정책 논리는 사교육 문제 해결의 관건으로 학벌주의를 능력주의로 전환하는 것을 당연시하지만, 학벌주의의 양면성과 특성에 대해서는 주목하지 않았다. 그 결과 학벌주의를 극복하겠다는 정상화 대책이 오히려 교육 불평등을 낳거나 사교육을 자극하는 상황도 벌어졌다. 또한 공교육 내실화를 통하여 공교육 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사교육비를 경감한다는 정책 논리는 ‘경쟁’ 변인을 과소평가함으로써 기대와 다른 결과를 낳기도 하였다. 학교 교육 내실화의 학교 내 효과와 학교 간 효과의 차이, 과정 중시의 비극 등에 대한 이해가 결여되었기 때문이다. 나아가 학부모의 고상한 마음과 현실적 마음이 추구하는 가치가 서로 다름을 구별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공교육 정상화 대책은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지는 못한 채, 정상화 의미의 모호성과 정책 논리의 취약성에 따른 갈등을 심화하는 촉매제가 되는 경향이 있다. 즉, 정상화 방안이 발표될 때마다 정부, 학습자(학부모) 및 사교육기관은 박해자, 희생자, 구원자의 역할을 맡거나 서로에게 떠안기는 방식으로 사교육 삼각형(shadow education triangle) 속에서 고통을 겪고 있는 것이다.
    연구의 한계로서 이 연구에서 설정한 공교육 정상화의 의미 유형은 가설적 모델인 만큼, 앞으로 경험적 자료와 더 정치한 분석에 의한 비판적 논의를 필요로 한다. 또한 이 연구는 공교육 정상화의 개념과 논리에 대한 분석으로서 사교육 현상 자체에 대한 분석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re was little explo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education normalization. The presumed logics of change involving it seemed so intuitive and commonsensical that the government−even researchers−were prone to fall under their spell. First of all, ambiguous attitude between the realistic and ideal dimension of public education normalization brought out hostile relationships when a disappointing policy outcomes turned out in spite of a remarkable promise. Its aftermath built a shadow education triangle in which students(parents), government and cram schools played a relentless game while taking a turn of roles among persecutor, rescuer, and victim. Moreover, no interest on the different strings of meanings of public education normalization set off a controversy and inconsistence between pieces of policy initiatives. Though there are no vaccine and medicine for the all types of public education normalization, the government alleged that the measures would function as a vaccine or medicine toward an ideal state.
    The classic feeble fallacy is the notion that the academic elitism is an substantial cause of heated shadow education investments, which would lead to the unequal opportunity against a merit system. This fell in the fallacy of overlooking the mechanism of the academic elitism which had carried out a role of protecting equality in behalf of the disadvantaged. The naive policy efforts were characteristic of the disregard of double minds of parents. Parents have both a day mind and night mind, and both minds have different needs which imply different relevant meaning of normalization. Little attention to the differences of both minds fueled a controversy and uncertainty accompanied by conflicts between constituents of public education including teachers and par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행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