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영남지방 별당과 정자건축의 ‘창얼굴’ 형식 및 변천에 관한 연구 -온돌방과 대청 주위 쌍창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orms and Modifications of 'Chang-aelgool'(窓乻骨) in Annex and Pavillion Buildings in Yeong-nam Region during the Chosun Dynasty -Focused on 'Ondol' Rooms and 'Ssang-chang' around the Mai)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2.06
20P 미리보기
조선시대 영남지방 별당과 정자건축의 ‘창얼굴’ 형식 및 변천에 관한 연구 -온돌방과 대청 주위 쌍창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건축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건축역사연구 / 21권 / 3호 / 73 ~ 92페이지
    · 저자명 : 박일찬, 이호열

    초록

    이 연구는 조선시대에 지은 영남지방 별당과 정자건축 총 38동(161개 쌍창)을 대상으로 창얼굴의 특성과 변천과정을 고찰했다.
    연구방법은 창호 실측조사와 문헌연구를 병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창을 형성하는 틀을 ‘창얼굴(窓乻骨)’이라 부른 용례를 조선시대 영건의궤(1680년)에서 발굴한바 17세기말부터 ‘창얼굴(창을 형성하는 틀)’이란 용어가 널리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구대상 창얼굴은 4가지(Ⅰ,Ⅱ, Ⅲ, Ⅳ형)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중 Ⅰ형과 Ⅱ형은 창얼굴의 상하 네 귀(4 모퉁이)를 연귀맞춤한 것으로 조선전기에 지은 별당과 정자의 대청 주위에 주로 사용되었다. Ⅲ형은 조선전기부터 중기까지 널리 사용되다가, 후기에 이르러 사용 빈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특징을 보였다. 조선전기에는 대청 주위, 중기와 후기에는 온돌방 정면에 사용되었다. Ⅳ형은 상부만 반연귀맞춤하고, 하부를 장부맞춤한 것으로 조선후기 별당과 정자의 대청에 주로 사용되었다.
    셋째, 주간(柱間)에서 창 폭(幅)이 차지하는 비율을 살펴보면 Ⅰ형과 Ⅱ형의 경우 창 폭이 주간의 1/2을 초과하나 Ⅲ형과 Ⅳ형은 주간의 1/2 이하로 창폭이 점차 좁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창얼굴의 형태를 살펴보기 위해 창 높이를 창 폭으로 나누어 그 비(比)를 살펴본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온돌과 대청에 시설된 Ⅰ,Ⅱ형과 대청 주위에 시설된 Ⅲ형의 창얼굴은 대개 가로가 긴 횡방형인데 반해 온돌방에 시설된 Ⅲ형의 창얼굴은 정방형에 가까웠다. 온돌방과 대청에 달린 Ⅳ형의 창얼굴은 높이가 큰 종방형으로 나타났다.
    즉 창얼굴의 형태로 보아 조선전기에는 횡방형, 조선중기에는 정방형, 조선후기에는 종방형(縱方形)으로 변화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창얼굴의 중앙에 위치하는 가운데설주는 조선전기에는 대청 주위에 주로 사용되다가 조선중기에는 대청과 온돌방에 공히 사용되었고, 이후 점차 사용빈도가 급격히 감소하여 18세기 중엽이후에는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창얼굴의 사용 위치별 특성을 살펴보면 창얼굴 중 Ⅰ형과 Ⅱ형은 주로 대청, Ⅲ형은 일부를 제외하고는 주로 온돌방에 사용되는 특징이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mainly inquired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Chang-aelgool' through 38 cases(with 161 Ssang-chang) of annex and pavillion buildings in Yeong-nam region which are built during the Chosun dynasty. The method of inquiry included actual survey of windows along with bibliographical research, and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 through the discovery of the term 'Chang-aelgool' as an indication of the window-forming frame in 'YeongGeonUiGwe'(1680 A.D), it is apparent that the term 'Chang-aelgool' was widely used in Korea from the late 17th century. Second, the 'Chang-aelgool' of study objects are classified into 4 categories. Type Ⅰ and Ⅱ are comprised of mitre-joints which cover the 4 corners of 'Chang-aelgool' and mainly used in building annex and pavillion buildings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Type Ⅲ was widely used during the early and middle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and drastically dropped in number during the late period of the dynasty. Type Ⅳ is comprised of mitre-joint of the upper-half, tenon-jointing of the lower-half and widely used in annex and pavillion building during the late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Third, the form of 'Chang-aelgool' has changed from rectangular form with longer width during the early period of Chosun dynasty to square form during the middle period and eventually ended up as a rectangular form with longer height during the late period of the dynasty. Fourth, it is considered that while mullion which is located in the center of 'Chang-aelgool' was mainly used around the main floored room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became commonly used in main floored room and 'ondol' rooms during the middle period and drastically dropped in number from then and ended up being not in use after the mid 18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건축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