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발생계이론에서 발생계 의학으로 (From Developmental System Theory to Developmental System Medicin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4.06
29P 미리보기
발생계이론에서 발생계 의학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의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의철학연구 / 17권 / 87 ~ 115페이지
    · 저자명 : 최종덕

    초록

    이 논문은 발생계 의학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타진하는 소고이다. 발생계 의학은 기존 발생생물학의 발생계이론에서 추론되었다. 발생계 의학이 의학의 한 유형으로 정착된 개념은 아니지만, 나는 생물학 이론에서 특별한 의학이론이 논증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할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발생계 의학(DSM)은 발생학적 발달에 따른 표현형질 및 신체변화에 주목하는 발생학적 의학에 속하지만, 발달지체를 다루는 기존의 발달의학과 다르다. 발생계 의학은 후성유전학, 진화발생생물학(Evo-Devo), 특히 발생계이론에 밀접히 연관한다. 본 논문에서 발생계 의학은 발생계이론 해석에 근거하여 "질병의 후성유전자적 변수들을 찾는 의학"으로 정의된다. 발생계이론은 발생적 가소성과 발생 제한 개념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발생적 가소성은 발생계 이론의 핵심개념으로서 환경과 조응하여 생기는 후천적 변화 가능성이다. 발생 제한은 형태론적 변이의 한계와 항상성을 유지하려는 생물학적 관성이다. 필자는 진화적응과 발생적 가소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길버트와 에펠이 제안한 '구성적 상호성' 개념과 글루크만이 제안한 '매치' 개념을 사용하여 발생계이론에서 발생계 의학이 어떻게 산출되는지를 논증한다. 그리고 아포토시스의 사례를 통해서 발생계 이론이 임상의학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분석한다. 발생계 의학은 기존 임상의학의 효율성을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materializing Developmental System Medicine(DSM) whose concept is inferred from the Developmental System Theory(DST). The DSM is not yet an established type of medicine, and I will try to provide arguments on how to draw this new type of medical practice from biological theory. DSM is discriminated from the 'developmental medicine for disabilities'. DSM is to do with realms of epigenetics, evo-devo, and the DST. DSM can be defined as a medical science whose purpose is to find epigenetical variables due to DST. DST can be characterized by two notions of developmental plasticity and developmental constraint. Developmental plasticity, which is vital to the DST, is an inner-ability for correction and modulation on organism's traits, coping with its environment after birth. Developmental constraint is a biological inertia to sustain homeostasis and limitation of morphological variations. I will argue that DSM can be defined as a deriative of DST, employing the concept of 'constructivist interactionism' conceived by Gray, and the concept of 'match', conceived by prof. Gluckman. I will also provide some cases of the apoptosis in order to show a possible physical application of DSM and its possible capacity to help extend the efficiency of existing clinical medici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