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나 답게’산다는 것에 대한 불교적 이해 (A Buddhist understanding of living ‘as I a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0.12
14P 미리보기
‘나 답게’산다는 것에 대한 불교적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종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종교교육학연구 / 64권 / 201 ~ 214페이지
    · 저자명 : 이필원

    초록

    '나답게 살아가기'에서 '나'라는 주어는 강조하지 않아도 된다. 주어를 강조하기에 문제가 발생한다. '이상적인 나다움'과 '현실적인 나'의 충돌은 흔히 말하는 자아의 분열로 나아갈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러한 병리적 현상을 방지할 수있는 것이 바로 주체로서 상정된 '나'를 생략하거나 약화시키는 것이다. 그럴 때, 관념속의 나가 아닌 현실을 생생하게살아가는 '경험적이며 구체적인 나'가 기능하게 된다. 이 '나'는 슬퍼할 때 '슬퍼하는 나는 누구인가?'의 나가 아니라, '엉엉 울 수 있는 나'인 것이다. 현실의 삶과 괴리되지 않고 현실에 발을 굳건히 딛고 사는 건강한 나인 것이다. 그 때 비로소 우리는 '관계를 어떻게 맺을 것인가?' '무엇을 할 것인가?'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성찰을 하게 될 것이다. '나답게 살자'를 말할 때, '나다움'을 문제의 핵심에 놓지 말고 '관계'속에서의 '나'를 스스로 찾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개발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자식답게, 동생답게를 규정지어주는 것이 아니라, 가족 내에서 '나'는 부모님과 형, 누나와 어떤 관계를 맺어야 '나'와 '가족'에게 이익되고 행복할지를 스스로 고민하게 하여, 올바른 관계맺기를 가능하게 도와주는 것이다. 관계맺기가 건강하게 이루어지면, 관계속에서의 '나'는 어떤 역할을 할 것인지가 자연스럽게 도출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We don't have to emphasize the subject "I" in "Living as I am." Problems arise when we emphasize the subject. The clash between "Understood Self by the idea" and "real Self" is likely to move on to what is commonly called self-dissociation. What prevents this pathological phenomenon is to omit or weaken the proposed 'I' as the principal. In that case, "experienced and concrete me" who lives vividly in reality, not out of ideas, functions. This 'I' is not the 'Who am I' when I'm sad?' but 'I can cry.' I am a healthy person who lives firmly in reality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reality. Only then will we have serious thoughts and reflections on 'how to form a relationship?' and 'what to do?' When it comes to "live like me," we should develop a program that allows us to find ourselves "me" in the "relationship" instead of putting "nada" at the heart of the problem. For example, rather than stipulating whether one is a child or a brother, 'I' in the family is helping to establish a proper relationship by making them think about what kind of relationship they should have with their parents, brothers and sisters to be beneficial and happy to 'I' and 'family'. I think that once the relationship is healthy, what role 'I' will play in the relationship will naturally be deriv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종교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