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적인 것’의 전유를 둘러싼 경쟁: 민족중흥, 내재적 발전 그리고 대중문화의 흔적 (The Competition Concerning Appropriation of ‘Things Korean’ : Revival of Nation, Theory of Indigenous Development and Trace of Popular Culture)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2.03
51P 미리보기
‘한국적인 것’의 전유를 둘러싼 경쟁: 민족중흥, 내재적 발전 그리고 대중문화의 흔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3호 / 185 ~ 235페이지
    · 저자명 : 김원

    초록

    이 글은 한류, 한국전통, 한국문화 등이 문화상품 차원뿐만 아니라, 국격, 국민의식 고양, 국민자긍심 고양 차원에서 제기되는 최근 ‘한국적인 것’에 대한 강조가 새로운 현상이 아니며, 그 반면교사는 이미 60년대 후반부터 70년대 초반에 등장했던 ‘한국적인 것’의 창안에서 비롯되었음을 밝히는 것이다. 쿠데타 초기에 박정희 정권은 한국사를 매우 부정적인 것으로 파악했으며 서구적인 것에 대한 불신이 강했다. 하지만 60년대 후반 직후 민족주체성의 회복을 슬로건으로 ‘우리 것’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뿐만 아니라 지식사회에서도 1967년을 기점으로 정체성론, 반도론 등 식민사관을 극복하려고 내재적 발전론과 민족문학론을 구체화시키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한국적인 것의 전유를 둘러싼 경쟁이 시작되었다.
    ‘한국적인 것’을 둘러싼 경쟁이 일어난 배경은 중미수교, 동아시아 데탕트 그리고 주한미군 철수 등 안보위기와 근대화에 따른 대중문화와 사회적 균열의 확대라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적인 것의 발명으로 한국적 인간형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었다. 정부는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그리고 문예진흥원을 중심으로 진행했던 문화-문예정책 그리고 급격히 확산된 대중문화에 대한 검열과 개입을 전개했다. 문화정책은 민족문화와 전통문화의 우수성, 밝은 미래상 복원 등을 통해 창조적인 민족-국난극복의 의지를 복원하기 위한 것이었다. 또한 청년문화, 호스티스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를 포함하는 대중문화에 대한 검열과 단속은 대중들의 욕망과 감정을 한국적인/민족적인 것으로 대체할 것을 강요했다. 그러나 한국적인 것의 창안을 통해 국가/민족에 대한 감정적 애착과 새로운 인간형을 만들어 위기를 극복하려는 의도는 절반의 성공이었다. 정부와 엘리트의 의도와 달리, 대중들은 대중문화를 소비하며 자신의 욕망과 정체성을 구성하려고 했다. 확산된 대중문화의 지형 속에서 여공, 도시하층민, 식모, 청소년처럼 한국적인 인간형이나 민족문화의 의미망에서 벗어난 주체들도 다양한 방식으로 존재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o argue that emphasis of recent ‘Things Korean’― for example Korean-Wave, Korean-Tradion, Korean-Culture―for the sake of enhancing national consciousness and national pride are not new phenomenon. The historical origin of ‘Things Korean’ rooted from invention of ‘Things Korean’ in era of Park, Jung-Hee government. After military coup, Park, Jung-Hee government regarded Korean History as negative past and had strong distrust about ‘the western’. But concern about ‘Things Korean’ increased in the name of recovering national identity after the late 1960s. From 1967 academic society stressed theory of indigenous development, theory of national-literature for the purpose of overcoming colonial view of history. From this point the competition began concerning appropriation of ‘Things Korean’.
    The historial background concerning appropriation of ‘Things Korean’ were crisis including asian détente, withdrawal of US forces in Korea and rapid social cleavages after modernization in 1960s. The purpose of inventing of ‘Things Korean’ were overcoming crisis by way of making new human type. The government evolved culture-art and literature policy performed by Ministry of Culture, Cultural Properties Administration, Arts Council Korea and populr culture policy including censorship of movie, television drama, media. The purpose of culture policy was restoring creative national identity, spirit of overcoming the national crises by stressing excellence of national culture and brighter image of future. The purpose of censorship and enforcement against popular culture including youth culture, hostess melo movie, television drama was regulating desire and emotion of masses for transforming nationalistic human type.
    But the intention of inventing ‘Things Korean’ for overcoming crisis by way of making new human type was half of the success. Unlike intention of government and elite, masses construct their own desire and social identity by consuming popular culture. Like factory, urban lower group, housemaid, there exited various different and heterogeneous subject escaping from national identity enforcing by government in expanding terrain of popular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