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회학, 서사를 어떻게 할 것인가? (What Should Sociology Do with Narrativ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2.05
45P 미리보기
사회학, 서사를 어떻게 할 것인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이론 / 41호 / 121 ~ 165페이지
    · 저자명 : 최종렬

    초록

    이 글은 근래 들어 한국사회학계에 주요한 질적 방법(론)으로 세를 넓혀가고 있는 서사분석에 대해 근본적으로 성찰해 본다. 먼저 서사가 단순히 질적 방법(론)의 하나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애매성이라는 인간의 실존적 조건과 깊숙이 연관되어 있으며, 사회학은 애초부터 사회변동이 야기한 애매성을 헤쳐 나가기 위한 서사로서 출현하였다는 점을 논의할 것이다. 또한 작금의 사회변화가 인간의 실존적 조건을 악화시키고 있어 그 어느 때보다도 새롭게 서사화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는 점을 밝힐 것이다. 다음으로 새롭게 서사화하기 위해서는 의미의 혁신이 필요하며, 이는 은유와 서사를 통해 가능하다는 리쾨르의 주장을 빌려 생산 은유에서 의례 은유로 전환해야 하고 이야기의 장르에 주목해야 함을 보여줄 것이다. 이어서 서사적 인터뷰를 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실증주의적 궁구에서 사회적 공연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살아있는 경험을 재창조하고 정서적 반응을 일으키는 글쓰기가 요청된다는 점을 밝힐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reflect radically on narrative analysis, which has recently gained power in Korean sociology as the main qualitative method(ology). First, it will be demonstrated that narrative is deeply interconnected with the existential condition of human beings, ambiguity rather than merely being a qualitative method(ology) and that sociology emerged as a kind of narrative to navigate through ambiguity brought about by great transformations.
    Second, it will be argued that the contemporary change is worsening the existential condition, which requires our ability to narrate it in a new way. Third, following Ricoeur, it will be argued that semantic innovation is needed through metaphor and narrative, that the turn from the metaphor of production to the one of ritual is required for this, and that main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the genres of story.
    Fourth, it will be contended that the turn from the positivistic probing to social performance is needed in order to conduct narrative interviews. Last, it will be argued that new writing strategies are needed to reinvent the lived experiences and evoke emotional responses in audien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