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소년의 자존감 결정요인: 자기-역량지각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 (The Determinants of General Self-Esteem in Adolescents: The Influences of Self-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Supports)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0.12
18P 미리보기
청소년의 자존감 결정요인: 자기-역량지각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수록지 정보 : 인간발달연구 / 17권 / 4호 / 1 ~ 18페이지
    · 저자명 : 김순혜

    초록

    본 연구는 Harter의 자아체계 모형을 기본 가정으로 하여 자존감 결정요인을 자기 역량지각과 사회적 지지로 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한국 청소년 패널조사(KYPS)를 활용하였다. 초등학교 4학년의 4차 자료(2007년도)와 중학교 2학년의 4차(2007년도)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같은 시기에 중학교 1학년과 같은 해에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삼은 것이며 표집인원은 중학생 2,844명 고등학생 3,449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패널자료의 문항 중 Harter(1982)의 SPPC(Self-Perception Profile for Children) 검사에 있는 역량지각 측정 문항, 그리고 사회적 지지 측정 문항과 의미가 유사한 문항들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존감의 결정요인으로 영역별 역량지각과 사회적 지지를 포함시키는 것이 적합하다. 둘째, 자존감의 결정요인으로 역량지각과 사회적 지지를 포함시킬 수 있지만 자존감과 하위요인들은 독립적으로 분리해서 측정해야 하며,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자신에 대한 전반적 가치감인 자존감을 더 높게 지각하고 있다. 셋째, 자존감 결정요인들의 영향력은 학업역량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 신체외모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난 선행연구들과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넷째, 자존감 결정요인들의 영향력에서 두 집단 간에 차이를 보인 요인은 교사지지였고, 중학생이 교사지지를 더 높게 지각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인지·사회·정서 면에 커다란 영향을 주는 자존감을 형성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작하거나 개입할 때, 중학생과 고등학생이 차별화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self-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supports in regards to adolescents. The basic assumption underpinning of this research exercise is Harter's multifaceted hierarchical model. 2844 middle schoolers and 3349 high schoolers responded to question items corresponding to the same meaning of those contained in the original SSPC(Harter, 1982) instrument.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means of multiple group analysis in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rough SPSSWIN 18.0 and AMOS 18.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high schoolers exhibited a higher perception of self-esteem than middle schoolers. Second, the means of specific domains in perceived competences and social supports differed across both domains and grade. In terms of general tendencies, the two groups indicated higher levels of perceived academic competence than physical appearance. Third,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the sub-factors, perceived academic competence was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adolescents' self-esteem. In the case of middle schoolers, the order of predictive power was academic competence> parents' support> teacher's support> social acceptance> physical appearance, respectively. In the case of high schoolers, the order of predictive power was academic competence> parents' support> social acceptance> physical appearance> behavior conduct, respectively. Fourth, only teacher's support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s being a predictors of self-esteem between the two groups. Tak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to considera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intervention related to self-esteem should be different across the various ages of adolesc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간발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