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Perceived Accountability and Job-Related Factors as Alternative Sources for Contextual Performance: What Can Managers Do More to Encourage Contextual Performance?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09.12
39P 미리보기
Perceived Accountability and Job-Related Factors as Alternative Sources for Contextual Performance: What Can Managers Do More to Encourage Contextual Performance?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영학연구 / 38권 / 6호 / 1505 ~ 1543페이지
    · 저자명 : 김승용

    초록

    This study was prepared to test a premise that job characteristics and managerial actions encourage employees to feel accountable for contextual performance (CP) behaviors and the perceived accountability for CP behaviors leads to the actual behaviors. Contextual performance (CP) refers to activities that differ from job-specific task performance but are still important for achieving organizational goals. Despite its importance, CP is not as clearly listed in a formal job description or explicitly included in promotion criteria as is task performance (Lepine & Dyne, 2001; Organ, 1988). And, it has been assumed to be exhibited as a matter of individual discretion (Motowidlo, Borman, & Schmit, 1997). However, organizations cannot afford to depend on chance or employees’ goodwill to provide the innovative and spontaneous activities they need (Kerr, 1975). So, the question that this study will address is, “What can managers do to encourage their subordinates to engage in CP?” This study argues that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environments created by managers can make employees feel accountable for performing CP. Specifically, five job characteristics, including task significance, task identity, autonomy, supervisor feedback, and behavioral norms, were hypothesized to have indirect positive effects on CP behaviors through perceived accountability. Those hypothetic relationships were distilled from relevant literature. In their accountability model, Dose and Klimoski (1995) suggested that when individuals perceive their jobs or actions as important and have enough control over the situation to achieve tasks, they are likely to feel accountable for their behaviors. The job characteristics literature identified task autonomy (Hackman & Oldham, 1976) as the sources of felt responsibility, which is suggested as a core component of perceived accountability (Cummings & Anton, 1990; Daft, 2002; Schlenker, Britt, Pennington, Murphy, & Doherty, 1994; Schlenker & Weigold, 1989). Frink and Klimoski (1998b) suggested that accountability is subject not only to structural contingencies, such as evaluation systems, reward systems, and disciplinary procedures, but also to social contingencies, includ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behavioral norms. Finally, while both goal setting theory (Locke & Latham, 1990) and control theory (Taylor, Fisher, & Ilgen, 1984) emphasize that performance improvement requires specific goals and feedback, some characteristics of the feedback process are determinants of perceived accountability for using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feedback sources (London et al., 1997).
    A data were collected from 344 supervisor-subordinate dyadic samples. A dyadic sample design was employed to minimize the effects of common method variance issue and social desirability. Since job characteris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영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3 오전